메인넷을 성공한 프로젝트는 어떤 기능을 갖게 되는건가요?
많은 토큰이 테스트넷을 거쳐 메인넷을 실행합니다. 메인넷을 하게 되면 토큰에서 코인으로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메인넷을 성공한 프로젝트는 어떤 기능을 갖게 되는건가요?
- 질문자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메인넷을 성공한 프로젝트는 어떤 기능을 갖게 되는건가요? - 메인넷을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자체 블록체인의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메인넷을 한 코인만이 가질 수 있는 기능이라고 할 때 개인적으로는 '자신들의 서비스에 꼭 맞는 블록체인을 개발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아니까 싶습니다. 
- 저는 메인넷 코인, Dapp 토큰의 차이에 대한 답변을 달 때 기성복과 맞춤 옷의 예를 들곤 하는데요, 기성복 중에서 예쁘고 마음에 드는 디자인이 있고 사이즈가 맞는 옷이 있다면 굳이 맞춤 옷을 살 필요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맞춤 옷을 사 입는 것이 체형에도 잘 맞고 좋을 것입니다. 이 말은 반드시 메인넷을 런칭할 필요는 없지만 필요성이 있다면 메인넷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 예를 들어 이오스의 경우 ICO와 거래소 상장을 위해 ERC20 토큰을 발행했지만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이오스의 몸에 맞지 않는 옷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오스의 경우 독자적인 메인넷을 런칭함으로써 DPOS를 통한 빠른 합의와 트랜젝션의 처리, 대표 노드의 선출 방식, 수수료가 없는 특징, 스마트 컨트랙트를 적용하여 자체 토큰 발행 등 독자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현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