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올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그리고 TSMC의 예상 PBR은 어느수준이며 각각의 기업이 밸류이에션이 크게 차이가 나는건가요?

크게 반도체 업종하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국내업체중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그리고 전세계에서 TSMC라는 막강한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가 있는데요.

이들 3사의 예상 PBR어느수준이며 각각의 기업이 밸류에이션 크게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의 PBR은 올해 24년 예상실적 기준으로 1.49배이며 하이닉스의 PBR는 마찬가지로 24년 예상실적 기준으로 1.89배입니다. 또한 TSMC의 올해 24년 예상실적기준으로 약 7배정도의 PBR을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3사가 반도체업종은 맞지만 영업활동 구조부터가 삼성전자는 핸드폰 IM사업부마 가전사업부가 섞여 있으며 하이닉스는 메모리반도체업체이며 TSMC는 파운드리업체이자 선단공정을 주도하고 있는 전세계1위 파운드리 업체라는 점입니다.

    또한 TSMC가 현재 가장 각광받고있는 선단공정과 AI가속기 제조업체의 핵심업체이기 때문에 가장 밸류에이션이 높고 하이닉스가 마찬가지로 엔비디아의 AI가속기 HBM메모리분야를 주도하고 있는 업체이므로 밸류에이션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6월에 발표된 증권사 report를 보면 삼성전자의 PBR이 1.42배, TSMC는 6.27배, SK 하이닉스는 2.58배입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다는 의견이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의 예상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삼성전자가 약 1.2배, SK하이닉스가 약 1.56배, TSMC가 약 5.5배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밸류에이션 차이는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TSMC는 세계 최대의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로, 고급 기술력과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바탕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을 유지합니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메모리 반도체 가격과 수요의 변동성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TSMC는 5nm 및 3nm 공정 기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HBM 기술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어 AI와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밸류에이션이 높아집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를 모두 생산하지만 최근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TSMC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와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여 투자자들에게 더 높은 신뢰를 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큽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각 회사의 PBR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투자자들이 각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위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의 예상 PBR은 시기와 상황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명확한 값을 제시하기 어렵지만, 2023년 7월 기준으로는 삼성전자가 1.29배, SK하이닉스가 1.67배, TSMC가 4.35배를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TSMC는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각 회사의 PBR 차이는 사업 분야의 특성, 시장 점유율, 미래 성장 가능성 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PBR은 기업의 시가총액과 장부가(청산가치)를 비교한 수치로, 일반적으로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에 따르면, TSMC의 PBR이 가장 높아 현재 주가가 가장 고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PBR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반도체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PBR 외에도 다양한 지표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그리고 TSMC의 예상 PBR(주가순자산비율)은 각각의 시장 상황, 재무 성과, 투자자 기대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들 기업의 밸류에이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장 위치 및 기술력: TSMC는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첨단 공정 기술에 있어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높은 기술적 진입 장벽과 안정적인 수익 구조가 TSMC의 밸류에이션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제품 포트폴리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메모리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제품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사업 다각화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수익성 및 성장 전망: TSMC는 높은 수익성 및 꾸준한 성장 전망을 바탕으로 비교적 높은 PBR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메모리 시장의 특성상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수익성이 사이클에 따라 변동할 수 있어 PBR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시장 환경: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수요 및 공급, 미-중 무역 갈등, 기술 발전 등의 외부 요인들이 밸류에이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TSMC는 모두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지만 각각 다릅니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를 만들고 TSMC는 다른 회사들이 만든 반도체를 대신 만들어 주는 파운드리입니다. 예상 PBR(주가순자산비율)은 각각 다르게 나오며, TSMC는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점유율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PBR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들 간의 밸류에이션 차이는 사업 모델과 시장 위치, 수익성 차이에서 비롯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