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3.08.13

얼음덩어리가 바다위에 떠 있을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남극이나 북극을 보게 되면 큰 얼음 덩어리들이 바다위에 둥둥 떠 있는 모습을 볼수 있는데요. 딱 봐도 무게가 상당해 보이는데 어떻게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그 거대한 얼음이 바다위에 떠 있을수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바다 위에 떠 있을 수 있습니다. 얼음덩어리의 부피가 물의 부피보다 크기 때문에 물에 밀려서 얼음덩어리가 떠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 덩어리가 바다 위에 떠 있는 이유는 물의 밀도와 얼음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얼음은 물이 얼어서 고체 상태로 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물이 얼면 밀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물 분자들이 얼음 구조에 정렬되어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얼음의 밀도는 액체 물의 밀도보다 낮아집니다.

    또한, 얼음 덩어리가 바다 위에 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부력입니다. 얼음은 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물 위에 떠 있는 부분은 물의 밀도와 상쇄되는 부력을 받게 됩니다. 이 부력은 얼음을 위로 밀어 올리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빙산은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에 뜨게 됩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얼음이 물이 얼기 전보다 부피가 약 10% 정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얼음이 물이 얼기 전보다 부피가 증가하는 이유는 얼음이 물이 얼 때 수소 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수소 결합은 물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약한 결합이지만, 많은 수의 물 분자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얼음이 물이 얼기 전보다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물에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얼음덩어리가 바다 위에 떠 있을 수 있는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물보다 부피가 약 10% 정도 크지만, 무게는 거의 같습니다. 따라서 얼음이 물에 뜨게 됩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얼음이 결정을 이루는 과정에서 수소 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수소 결합은 물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약한 결합이지만, 많은 수의 물 분자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얼음의 밀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현상은 지구의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얼음이 바다에 떠 있으면 해수면을 안정시키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