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할때 보증보험가입 필수인가요?
전세대출받을땐 보증보험 가입을 해서 대출실행시 보증보험비를 내야했는데
주택담보대출도 똑같나요?
인지세 이외 어떤지출이있을까요?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으실 때 보증보험에 대한 가입은 필수조건은 아니며 만약 대출 한도가 넉넉하거나 혹은 적게 받으시는 경우에는 방에 대한 소액보증금을 차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입하시지 않으셔도 되세요
주택담보대출 받을 때 대출 신청할 때도 인지세와 기타 부대비용(법무사 비용, 근저당설정비 등)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대출금 상환 때는 이자 비용이 발생합니다.
인지세는 대출금 5천만원 이상일 때 부과되고 대출금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억 대출 받으면 인지세는 약 7만원입니다.
법무사 비용은 5천만원 이상일 때 부과하고 이 또한 대출금액에 따라 달라지니 참조하세요(1억원 대출에 법무사 비용 약 10만원)
주택담보대출에서 보증보험 가입 여부는 대출 상품에 따라 다릅니다
보증보험 가입 필수 여부: 일부 대출 상품에서는 보증보험 가입이 필수입니다. 예를 들어, 버팀목 전세대출 HUG 보증 같은 경우는 가입이 필수이고, HF 보증 같은 경우는 선택입니다.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중 안심전세는 필수이고, 일반 전세대출은 선택입니다.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보험 가입 가능 여부는 주택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주택을 담보로 전세보증대출을 받으면 보험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보증보험도 집을 담보로 보험을 들어주는 것인데, 집이 다른 대출의 담보로 있으면 보증보험이 가입이 안됩니다. 대신, 신용 대출일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주택담보대출 시 발생하는 비용: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발생하는 비용에는 인지세 외에도 국민주택채권 매입비용이 있습니다. 인지세는 대출금액에 따라 다르며, 대출금액이 5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대출 인지세가 비과세로 인정되어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대출을 취급하는 은행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