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용감한콜리271
용감한콜리27122.12.18

금리상승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정기예금을 몇년짜리로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금리상승이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경쟁적으로 가파르게 오르던 예금금리가 잠시 주춤한데

상승기조는 언제까지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CPI값이 점차 둔화하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고 있어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도 완만하게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물론 정점금리 수준은 높으나 금리인상 '속도'만을 본다면 예전과 같은 자이언트스탭의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은 낮아졌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경우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해소를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겠지만 빅스탭보다는 베이비스탭의 금리인상을 통해서 천천히 쫓아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미국과의 금리격차는 1%범위내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우리나라의 정점금리 수준은 4%~4.25%수준에서 생각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최근에 금리가 하락했던 것은 정부의 의도적인 금리 누르기 정책이며, 12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를 저금리로 성공적으로 발행시키기 위해서 한 것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는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예금을 가입하신다면 현재는 3개월 단위로 하시고 내년 3월쯤에는 1년만기의 예금을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하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경기가 회복되면서 지난해 잠재 성장률에 크게 못 미쳤던 성장률이 잠재 성장률 이상으로 높아지더라도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정도는 과거 콜금리 인상 시기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욱이 내년 2분기에는 성장률이 소폭 하락하면서 그 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정책금리는 향후 물가상승 압력에 대한 한국은행의 판단과 대응 방법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내년 금리하락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기준금리상승에도 불구하고 정기예금 금리는 조금 하락한 상황입니다. 10 ~ 11월 정기예금 금리가 정점이었고 그러한 상황은 기준금리 상승외에 시중자금 경색이 원인이었습니다. 향후 기준금리가 솝폭상승함에 따라 정기예금 금리도 상승할 수 있지만시중자금 사정이 좋아지면 기준금리 상승만큼 정기예금 금리가 상승하지 못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내년 하반기부터 금리인하를 시작한다면 현재보다 정기예금금리가 낮아질 수도 있습나다. 지금 3년 이상 장기예금에 가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연준에서 금리인상기조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 또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아무래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가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