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23.01.06

고용지수가 좋으면 경제가 좋은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고용지수가 좋으면 경제가 좋은게 아닌가요!? ??

굳이 계속해서 금리인상을 안해도 상관없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용지수가 좋으면 좋은게 맞죠.

    하지만 지금은 인플레이션 시대입니다. 그걸 금리 인상으로 막을려고 하는데, 최대의 방해 요인이 고용입니다.

    고용이 좋으면 임금도 올라가니 이는 다시 인플레이션을 유발시킵니다.

    결국 고용이 나빠야지 인플레이션이 빨리 종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대로 고용지수가 좋다는 것은 현재 경제 상황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현재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경제 상황이 좋아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이 높아서'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기는 하지만 향후 경기침체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된다면 연준 입장으로서는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연준의 기치는 '고용안정'과 '물가안정'인데 이 두 가지의 무게 균형추가 중요한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고용지수가 좋다는 것은 금리를 인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잘 버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여서 향후에 연준이 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을 하더라도 경기침체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어서 부담없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니 시장입장에서는 오히려 악재가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6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입니다. 사람들이 취업을 하고 경기가 좋다면 연쇄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연준은 물가를 잡기위해 다시 금리를 상승시키는 악순환이 벌어집니다. 즉 아직 금리 인상으로 인한 효과가 시장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이야기이므로 추가적인 금리상승이 이루어질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지수가 견고하다면 아무래도 현재 시장이 좋지 않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수입이 있기에 버티는 힘이 있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지수가 좋다는 것은 노동시장이 타이트하다는 뜻으로 구직자보다 기업에서 원하는 구인자가 더 많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임금 상승 압력이 있어 인플레이션이 자극 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이 필요한 상황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고용지수가 좋으면 경제가 좋다는 의미는 맞습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경기가 계속 좋으니 물가가 쉽게 내려가지 않습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 미국은 작년부터 계속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하고 있고요.
    이렇게 금리를 인상하면 수요를 둔화시켜 인플레이션이 꺾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작년처럼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의 경우 고용지수가 좋고 경제가 좋은 현상 보다는 가장 경제의 가장 문제점인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전히 경제지표가 좋은것은 더 강력한 금리인상을 진행할수 있는 여건으로 인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