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불이 붙지 않는 소재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불이 나면 물건들은 연소 반응으로 인해

금방 타버리는데요

이번 5호선 지하철 사건 뉴스를 보면

지하철 내장재가 타지 않는 소재로 되어 있어서

큰 피해가 나질 않았다고 합니다

불이 붙지 않는 소재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불이 붙지 않는 소재는 불연소재라고 합니다. 이 소재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반응을 잘 하지 않거나, 열을 받아도 분해되어 가연성 기체를 방출하지 않는 특징을 가집니다. 고온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탄화과 되면서 연소의 확산을 막는 그러한 기능을 하는 소재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불이 붙지 않는 소재들은 열을 받아도 연소 온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즉, 온도가 더 올라가야 불이 붙는 것이죠. 그리고 연료가 될 가스를 방출하지 않는 소재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꽃을 차단하는 난연선 소재가 대표적일 수 있는데, 이것은 열을 흡수하면서도 분해가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불이 붙지 않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난연성 물질로 고온에서 쉽게 연소하지 않거나 연소 시 유해가스와 열을 적게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런 소재들은 열을 흡수해 분해되거나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해 산소와 접촉을 차단하여 불꽃이 번지는 것을 막습니다 그래서 지하철 내장재처럼 난연성 소재를 사용하면 화재 확산을 지연시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