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15

저녁에 달이 밝은 이유가 어떤원리인가요?

저녁에 달이 밝게 빛나는 경우도있고 빨갛게 보일때도있는데 어떤 과학적원리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달이 자체적으로 발광을하는건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달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

    태양 빛에 의한 빛의 반사로 밝게 빛나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 아닌 빛을 반사하여 빛나게 됩니다.

    즉, 태양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저녁 시간에 달이 태양 빛을 더 반사하여 빛나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에 달이 밝은 이유는 반사의 원리 때문입니다. 달은 태양에서 비춰지는 빛을 반사하여 지구에 반사광을 보냅니다. 이 때, 달이 지표면에 가까워지면서 반사광이 지표면에 더욱 집중되어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또한, 지구의 대기권도 반사광을 받아 밝게 보이는 것에 영향을 줍니다. 대기권에는 먼지나 수증기가 있어서, 이러한 물질들이 반사광을 산란시켜서 달의 빛이 더욱 밝게 보이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않습니다. 달이 밝게 빛나는 것과 빨갛게 보이는 현상은 지구의 대기와 태양 빛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달이 밝게 빛나는 경우, 이는 달이 태양에서 받은 햇빛을 반사하여 지구로 돌려주는 결과입니다. 태양은 달을 비추고 그 빛은 달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지구로 도달합니다. 이 반사된 빛은 우리가 달의 밝은 모습을 관찰하는 원인이 됩니다. 밝은 달의 정도는 태양과 달, 그리고 지구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는 달이 밝게 빛나며 만월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달이 빨갛게 보이는 경우는 일식이나 월식이 발생할 때 종종 관찰됩니다. 월식이 발생하면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달이 어두워지고, 이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차단되는 빛 중에 일부는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붉게 굴절되어 달의 표면에 도달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달이 빨갛게 보이게 됩니다. 이를 "달의 일식"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 빛이 붉은색 스펙트럼을 가지는 일부만 남아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달이 빛나고 빨갛게 보이는 현상은 지구와 태양, 그리고 달의 위치와 지구의 대기 등과 같은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자연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연구와 학문지에 따르면, 달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천체가 아니라 태양의 빛을 반사하여 빛나는 천체입니다. 따라서 달이 밝게 보이는 것은 태양의 빛이 달에 비춰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달이 저녁에 밝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의 빛을 가장 많이 받는 달이 저녁에 뜨기 때문입니다.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은 지구 대기의 영향입니다. 태양의 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란색 빛은 산란되어 사라지고, 붉은색 빛만 달에 도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태양빛을 반사해서 빛나는 천체입니다. 달이 밝게 빛나는 것은 태양이 밝기 때문입니다. 태양이 밝기 때문에 달이 태양빛을 많이 반사하고, 따라서 우리는 달을 밝게 볼 수 있습니다. 달이 빨갛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의 영향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의 성분에 의해 흡수됩니다. 빨간색 빛은 다른 색의 빛보다 흡수되기 어려워서, 달이 빨갛게 보이는 것입니다. 달이 밝게 빛나는 것과 빨갛게 보이는 것은 모두 태양과 대기의 영향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어요. 그런데 우리 눈에 달이 보이는 것은 어딘가 빛을 내는 물체가 있다는 말이에요. 우주에서 빛을 내는 물체는 무엇일까요?

    힌트 하나 줄게요. 낮이 되면 밝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

    맞아요. 바로 태양이에요. 태양은 표면 온도가 6,000도나 되는 활활 타오르는 불덩어리죠. 6,000도면 쇳덩이도 녹일 정도로 높은 온도랍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과 열로 지구의 모든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어요. 태양이 없었다면 지구는 꽁꽁 얼어붙어 생명이 살 수 없는 얼음 나라가 되었을 거예요.

    우리가 달을 볼 수 있는 것도 바로 태양 때문입니다. 달은 태양빛을 반사시켜요. 즉, 깜깜한 우주 공간에서 마치 전등처럼 태양이 빛나고 있고, 달은 이 태양빛을 반사시켜 빛나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부터 달이 보이는 이유는 햇빛이 약해지면서 달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않고 태양빛에 반사된 부분만 우리가 보는 것입니다

    붉은달은 빛의 산란에 의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을 때는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가 길어져 산란되는 현상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달의 빛이 붉게 변하거나 빛이 흐려져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 달이 특히 빨갛게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원리입니다.

    대기 중에는 먼지, 습기, 연기 등의 입자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달의 빛을 산란시켜서 달이 더 밝게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도가 높은 지역이나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이런 산란 현상이 더욱 강화될 수 있습니다.

    대기는 빛을 굴절시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굴절은 달의 빛을 조금씩 꺾어서 보이는 각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로 인해 달이 더 크게 보이는 '달의 일식'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스스로 열과 빛을내지 못합니다.

    우리가 보는빛은 태양빛이 달표면에 반사되어 보이는 빛입니다. 저녁시간이라서 특별히 빛이 밝지는 않고, 시간대별로 빛의 산란현상이 달리일어나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표면에서 반시시켜 다시 지구로 보내줍니다.

    보름달상태에서 가장 빛을 많이 반사하며 가장 밝습니다.

    저녁시간에는 통과하는 지구 대기의 두께가 두꺼워 산란이 많이 일어나고 오히려 빛이 번져보이고 달이 더 커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것은 아니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빛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달의 밝기와 색상은 태양과 달의 상대적인 위치, 지구의 그림자 등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해가 없어서 더 밝게 보입니다. 평소에 하늘에 별이 있는데 저녁에만 보이잔아요 이것또한 같은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한밤중에 떠 있지만..한 낮에도 떠 있습니다.

    다만, 태양빛으로 오는 빛을 반사하지 못하여 우리의 눈에는 하얗게나 희끄무레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밤에 밝게 보이는 것은 태양빛을 반사한 빛이 어둠(까만색)에 비해 더욱 밝은 보색으로 보여지기 때문이죠

    달에 비춰진 태양빛의 면적에 따라 초승달, 상현달,보름달 등으로 나누는데...결국, Full moon 즉, 보름달이 젤 밝죠..

    결국, 달 한쪽면을 거의 다 비춘다고 보시면 됩니다.

    쪼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