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다정한돼지87
다정한돼지8723.05.03

오늘 fomc 발표가 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금리를 올린다는 전망이 지배적인데 앞으로 더욱 올려도 경제에 악영향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 fomc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린다고 예견하는 전문가가 많다고 기사를 보았습니다.

이렇게 계속 금리를 올린다면 국가에 영향이 클꺼 같은데요.

미국이 언제까지 올릴 수 있는 체력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경우에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율이 높다 보니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현재 미국이 감당할 체력 자체는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금리인상에 따라서 현재 미국은행의 파산이 발생하고 있어 미국 또한 경기침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기침체의 정도에 따라서 빠른 금리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에 현재 미국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의 조율을 위한 금리안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것도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자국 내 금융기관들이 도산한 사례도 있고 상업용 부동산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한번더 올릴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인플레이션이 아직 잡히지 않아서 그런걸로 알고 있습니다. 금리를 올리는 충격보다 인플레로 인한 충격이 더 크디고 보는거겠죠. 지금 올리게 되면 아마 거의 막바지에 다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를수록 경성장률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단,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등 주요국의 경제상황의 우선 목표가 인플레이션 억제이기 때문에 일부 경제성장 침체에도 불구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