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 자연 녹지 감소가 지역 기후에 어떤 단기적 반응을 유도하나요?
안녕하세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 자연 녹지 감소가 지역 기후에 어떤 단기적 반응을 유도하며 장기적으로 어떤 환경 문제가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녹지가 줄어든다면 태양에너지가 그대로 지표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납니다 녹지가 있다면 식물이 태양 에너지를 일부 흡수 하기 때문에 평균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자연 녹지 감소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며 습도가 내려가며 대기의 불안정을 증가시켜 국지적 강수 패턴 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의 풍속을 증가시켜 강풍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장기적으로 본다면 기후 변화가 심화되어 물 부족 사태가 날 수 있으며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생물의 다양성과
인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요즘은 그린벨트 및 녹지구역 개발 자체가 과거에 비해서 많지 않기 때문에 영향을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기후라는 것도 지역기후 라는건 사실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소지역만 기후를 판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처럼 국토가 넓지 않은 국가에서 지역기후라고 따로 칭할만한 곳은 태백산맥 동쪽의 동해지역과 해안가 외에는 특정지역 개발로 영향을 받을 지역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요즘 도시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죠? 갈수록 농지 및 토지가 점점 건물, 상점들이 들어서며 자연 녹지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렇듯 도시화가 계속 진행된다면 열섬효과로 인해 지역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습도가 감소하여 기후의 건조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또한, 바람의 흐름을 변화하여 해당 지역의 기후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일인데, 이러한 상황들이 장기적으로 발생한다면, 결국에는 수분의 증발과 침투 감소로 인한 자원고갈, 교통량 및 산업 활동의 증가로 인해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니다. 또한, 자연 녹지의 감소로 인한 서식지를 파괴하여 생태계 혼란, 폭염과 홍수 등 극단적인 기후현상 등의 빈도가 높아질 우려가 크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자연 녹지가 감소하면 식생이 줄어들어 토양과 지표면이 태양열을 더 많이 흡수하고 열을
방출하지 못해 지역 온도가 상승합니다. 특히 도시에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여 기온이
더 높아지는 현상이 심화됩니다. 이런 현상이 심해져 탄소 흡수원이 사라지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 된다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