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누리함
누리함23.06.12

베트남특수 정의와 의의 및 평가가 궁금합니다.

10여 년간 지속된 제2차 베트남전쟁 기간 중 한국 정부는 베트남전을 둘러싼 국제 관계의 특수한 성격에 편승하여 전쟁 주도국이자 동맹국인 미국을 대상으로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고 알고 있습니다. 베트남특수 정의와 의의 및 평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트남전쟁의 특수라는 것은 우리나라의 6.25전쟁으로 인해서 일본이 이익을 본 것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당시 미국은 베트남전쟁에 참전하게 되면서 빠르게 전쟁을 종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오랫동안 전쟁이 종결되지 않고 미국의 젊은이들의 피해가 증가하게 되면서 미국 내에서만 베트남 전쟁을 주도한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로 인해서 미국은 미국인들의 전쟁 참전을 줄이지만 전쟁은 지속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게 베트남전쟁의 참전을 요청하였고, 이 당시 조건은 1인당 참전비용과 우리나라 군인들에게 지급한 군수물자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전쟁을 통해서 우리나라는 베트남전쟁에서 발생하였던 고철을 우리나라로 보내면서 조선업과 항공업이 조금씩 발전하면서 철강업이 이 전쟁을 시작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트남특수는 1964년부터 1973년에 걸친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 기간 중 외화 수익이 창출되어 한국 경제의 성장에 미친 무역 · 비무역 부문의 사회 경제적 효과를 말합니다. 베트남 파병으로 인한 경제적 영향은 조국 근대화와 시급했던 외환 보유 능력 확충과 차관을 통한 국가 공공시설 투자 자금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대외무역 구조의 왜곡과 특정한 신생 대기업 자본의 등장과 국내 경제 구조의 왜곡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월남전 당시에

    베트남에 파병을 하였고 이에 따라서

    베트남과의 무역액이 증가함과 동시에

    군납, 파월정병 송금, 파월기술자 송금 등 엄청난 외화수입이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