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고려청자의 종류와 특징을 알려주세요~

청자는 발달과정 및 기법상의 변화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고 들었는데요.

고려청자의 종류는 어떤게 있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려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청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문청자, 음각청자, 양각청자, 압출양각청자, 상감청자, 철백화청자, 철재상감청자, 투각청자, 동화청자, 상형청자가 있습니다.

      고려청자의 종류와 특색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자는 발달과정 및 기법상의 변화에 따라 순청자(純靑磁), 상감청자(象嵌靑磁), 철회청자(鐵繪靑磁), 진사청자(辰砂靑磁), 화금청자(畵金靑磁), 철채청자(鐵彩靑磁), 퇴화문청자(堆花文靑磁), 연리문청자(練理文靑磁)로 나눌 수 있다.

      * 순청자 - 순청자는 상감기법이나 다른 안료로 장식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표면 처리의 기법에 따라 소문청자(素文靑磁), 음각청자(陰刻靑磁), 양각청자(陽刻靑磁), 투각청자(透刻靑磁), 상형청자(象形靑磁)로 나뉜다.

      ① 소문청자 : 아무 문양도 없는 청자이다. 정선된 흙으로 얇게 구워냈고, 그릇의 형태나 색 등이 뛰어난 것이 많이 있다. 10~12세기 전반기에 주로 제작되었다.

      ② 음각청자 : 그릇 표면에 무늬를 음각한 것으로, 가는 선으로 묘사한 것이 많다. 무늬로는 연화, 연화당초, 모란, 국화, 국화당초, 앵무, 어룡, 파도 무늬 등이 많이 쓰였으며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에 걸쳐 널리 만들어졌다.

      ③ 양각청자 : 무늬를 그릇 표면에 도드라지게 새긴 청자이다. 양각 기법은 음각과 함께 사용되거나 상형청자에 부수적으로 사용된 예가 많다. 무늬로는 연화, 연판, 연화당초, 모란, 모란당초, 보상화, 파도, 원앙, 봉황 무늬 등이 사용되었다.

      ④ 투각청자 : 그릇 표면을 투각해서 무늬를 나타낸 청자이다. 무늬 이외의 부분을 파내는 수법과 무늬 자체를 파내는 방법이 있다.

      ⑤ 상형청자 : 동물, 식물, 고동기(古銅器) 등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청자로 고려사람의 숙련된 기술이 유감 없이 발휘되어 있다. 동물의 형태를 본뜬 것은 종류도 많고 표현 형식도 가지가지인데 사람, 오리, 거북, 사자, 원앙, 용, 원숭이, 물고기, 토끼 모양 등이 있으며, 식물의 형태를 본뜬 것으로는 표주박, 참외, 죽순, 석류, 연꽃 모양 등이 있다. 그중 표주박과 참외 모양은 특히 인기가 높아서 장기간에 걸쳐 만들어졌다.

      * 상감청자 - 상감이란 원재료의 일부를 파내고 그 자리를 다른 재료로 메워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이다. 청자 상감의 경우에는 흙으로 그릇을 빚어 반쯤 말린 뒤에 그릇 표면에 무늬나 그림을 음각하고 그 자리를 백토(白土)나 자토(紫土)로 메운 뒤 유약을 발라 구워서 투명한 청자 유약을 통해 흰색 또는 검은색 무늬가 보이도록 하였다. 12세기 전반기에 발생하여 12세기 중엽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상감청자에는 운학무늬, 들국화무늬, 포류수금무늬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① 운학무늬 : 구름과 학으로 구성되며 그 표현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 이 무늬는 주로 매병에 사용되었는데, 학과 구름을 드문드문 배치한 것도 있고 그릇 전면에 배치한 것도 있다. 보통 구름과 학의 몸통 부분에는 백토를 메워서 흰 색으로 나타내고 부리, 눈, 다리 부분은 자토로 메우거나 그려서 검은 색으로 나타냈다. 청자 고유의 푸른 바탕을 하늘 삼아 날아가는 학과 구름으로 장식된 운학문청자는 신비감을 자아낸다.

      ② 들국화무늬 : 무늬를 넣을 공간에 따라 국화꽃만을 넣거나 줄기에 한두 송이를 곁들여 표현하였다.

      ③ 포류수금무늬 : 갈대 우거진 언덕에 버드나무가 서 있고 나무 아래 잔잔한 물에는 오리 등 물새들이 노니는 평화로운 모습을 표현한 문양이다. 단순한 장식에 그치지 않고 한 폭의 아름다운 전원 풍경을 그린 듯한 느낌을 준다.

      이밖에도 사람, 용, 물고기, 원숭이, 나비, 석류, 연꽃, 모란, 포도, 표주박, 당초, 보상화, 대나무, 매화 등의 문양이 상감청자에 사용되었다. 초기 상감청자들은 하나하나 정성 들여 빈틈 없이 정교하게 만들어졌으나 후대로 가면서 상감수법이 거칠어지고 그릇 형태의 선도 둔해지며 무늬배치 역시 어수선해지는 경향이 보인다.

      * 철회청자 - 그릇 표면에 검은 색 안료로 그림을 그린 다음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운 것이다. 흰 색과 검은 색을 적당히 섞어서 그리기도 하지만 검은 색으로 그린 것이 대부분이다.

      *진사청자 - 진사란 붉은 색을 띤 안료이다. 진사로 그릇 표면에 무늬를 그리거나 또는 다른 무늬의 일부를 그린 다음(예컨대 운학무늬에서 학의 눈을 진사로 찍어서 붉게 표현하는 것)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것인데 남아 있는 예가 많지 않아서 매우 귀하게 여겨진다.

      *화금청자 - 상감된 무늬의 일부에 금을 칠한 것을 말한다. 보통 상감청자에 비해 매우 드물다.

      * 철채청자 - 그릇 표면에 전체적으로 철사(鐵砂) 안료를 바르고 그 위에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것으로 완성된 빛깔은 검은색이고 광택이 난다. 철회청자는 무늬만 검은 색으로 그린 그릇인 데 비해 철채는 그릇 표면 전체에 검은 색을 칠한 점이 다르다.

      *퇴화문청자 - 백토 또는 자토로 그릇 표면에 두드러지게 점을 찍거나 그림을 그린 후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운 것이다. 이러한 수법은 초기 청자에서부터 나타나며 여러 종류의 청자에 널리 이용되었다.

      *연리문청자 - 흑토, 백토, 회토 세 가지 흙을 뒤섞어 그릇을 빚은 후 청자 유약을 칠해서 구워낸 것이다. 그릇 전체에 세 가지 흙색이 대리석 무늬처럼 얽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고려청자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 고려청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초판 1995., 23쇄 2010., 한국문화유산답사회, 김효형, 신미원, 김성철, 유홍준)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청자는 제작 기법이 매우 어렵고 까다로워 오직 중국과 고려에서만 만들수 있었고 중국에서도 높게 평가한 부분이 고려청자의 푸른색을 내는 유약이었습니다.

      고려의 불교와 도교 사상이 청자에 반영되면서 운학문 문양이 그려진 것이 특징입니다.

      청자 어룡형 주자, 청자 투각 필보문 향로, 청자 과형병,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