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은 전염성이 강한데, 과학적 원리가 있나요?
보통 실내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잠을 못자서 피곤하면 하품을 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해서 덩달아 따라 하는 경우도 많고요. 하품은 전염성이 있어 보이는데, 숨은 과학적 원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은 뇌에 산소가부족한 경우에 생기게 됩니다 다른사람이 하품을 한다는 것은 같은 공간에 산소가 부족한것으로 인지하게 되어 무의식중으로 위험을 감지하게 됩니다
이런 상태때문에 하품을 해서 뇌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늘리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은 뇌에 산소가 부족할 때 생기는 생리현상입니다. 따라서 한사람이 하품을 하게 되면 그 공간에 공기가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이에 여러사람이 같이 하품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가까운 사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품은 전염성이 있는데요.
연구에 따르면 하품하는 상대방에 대한 공감의 표시 혹은 사회적 유대감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같이 하품을 하게 된다는군요.
'플로스 원(PLOS ONE)' 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가족과 함께 있을 때 하품 전염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친구와 있을 때라고 합니다.
그리고 낯선 사람과 있을 때 하품 전염도가 가장 떨어졌는데, 이런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하품은 친밀감을 표현하는 수단일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의 전염성에는 과학적 원리가 있습니다. 하품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발생하는 거울 뉴런의 작용으로 인해 전염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거울 뉴런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감정을 관찰할 때, 마치 자신이 그 행동이나 감정을 하는 것처럼 반응하는 뉴런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웃을 때, 우리도 따라 웃는 것은 거울 뉴런의 작용으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하품도 거울 뉴런의 작용으로 인해 전염된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하품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의 하품하는 모습을 보고, 마치 자신이 하품하는 것처럼 거울 뉴런이 반응합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따라 하품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피곤하지 않더라도 주변에서 하면 따라하게 됩니다. 이것는 동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메아리 현상’으로 그동안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조지나 잭슨 영국 노팅엄대 정신건강연구소 교수팀이 그 이유를 뇌에서 찾았습니다.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하품을 참으려고 할수록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는 증가했습니다. 또 운동 피질에 전기 자극을 가하면 하품 충동이 커졌습니다. 이는 운동 피질의 흥분과 억제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하품이 조절된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