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23.05.20

하품을 하는 과학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하품을 하게 되는 과학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옆사람이 하품을 하게 되면 하품이 전염될 수도 있다고 하던데, 이런 경우에는 하품을 왜 하게 되는 건가요?

하품을 함으로써 인체에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23.05.22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을 하게되면 숨을 크게 내쉬게 되는데 바로 이 것으로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뇌에 산소가 부족하다는 신호로 하품을 하게되는 것인데요. 주로 피곤하거나 산소가 부족한 곳에서 이렇게 하품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은 신체에서 몸의 피곤함을 우리에게 알리는 방법입니다. 하품을 하면서 뇌에 공기를 환기시키게 되고 열을 시키는 역할을 해줍니다. 그로인해 신체가 무리하고 있다는 신호로 사용되며, 휴식을 통해서 하품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1. 뇌에서 산소가 부족할 때 산소 공급을 받기 위하여


    뇌에 산소가 부족할 때 뇌에 산소를 공급하여 뇌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몸이 피곤하거나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뇌에 원활하게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뇌에서 하품을 하게 하여 산소를 충당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때 뇌는 하품을 통하여 공기를 깊게 흡입하게 하므로 새로운 산소를 공급 받습니다.



    2.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긴장된 경우에


    스트레스 등으로 지나치게 긴장된 경우에도 하품이 나오기 쉽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도한 업무등으로 머리를 많이 쓰는 일을 했을 경우, 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뇌의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하품을 하게 됩니다.



    3. 졸음이나 지루함 등을 느끼게 될 때


    졸음이나 지루함을 느낄 때 졸음이나 피곤함에 인해 신체가 무기력해지게 되고, 졸음이나 지루함을 느끼게 되면 뇌 움직임도 느려지게 되면서 그것을 더욱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 자연스럽게 하품이 나옵니다. 이때 하는 하품은 산소를 빨아들임으로써 뇌에 적절한 자극을 주기 위한 동작입니다.



    4. 뇌의 온도 조절


    뇌는 인간의 몸 중에서도 에너지 소비가 많고, 열을 많이 배출하는 기관입니다. 그 뇌의 일부가 과열되어 기능이 저하될 것 같으면 하품을 하고 차가운 혈액을 뇌에 보내 식히는 역할을 합니다.


    체내에 산소 부족할 때 하품한다고는 하는데


    과학적으로 가설만 존재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하품의 주요 기능은 과열된 뇌를 식히는 데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입을 크게 벌렸다 닫는 동작을 하게 되면 코 옆의 동굴인 부비강(코 곁굴)을 팽창 후 수축시키게 되는데요. 이렇게 해서 부비강은 풀무처럼 공기를 뇌에 불어 넣어 온도를 낮춰줍니다. 이렇게 뇌를 식히는 것은 신경세포의 활동으로 발생한 열과 주변 온도로 인해 과열이 발생하여 뇌 기능을 손상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5.20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피곤하거나 잠이 올때 뇌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뇌는 더 큰 호흡으로 산소를 보충해달라고 신호를 보냅니다.

    그래서 하품을 통해 산소를 더 많이 빨아들여 뇌에 산소를 공급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 학술지 Communications Biology에 최근 발표된 새로운 연구는 우리가 하품을 하는 이유에 대한 흥미로운 가설을 시험하였다. ‘뇌 냉각 가설’. 이 가설은 우리가 하품하는 이유는 뇌를 식히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즉, 하품을 하는 동안 일어나는 근육 수축과 깊은 들숨의 목적이 머리에서 뜨거운 피를 씻어내고 차가운 피로 대체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뇌를 식히는 것은 신경세포의 활동으로 발생한 열과 주변 온도로 인해 과열이 일어나 뇌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품의 두뇌 냉각 가설은 뇌가 더 크고 신경세포가 더 많은 동물들이 더 자주, 그리고 더 오래 하품을 할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이 예측을 시험하기 위해, 연구진은 하품에 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분석을 실시했다. 이 연구는 인간과 동물 101종(포유류 55종, 조류 46종)을 대상으로 1,291개의 하품 영상을 분석해 각각의 하품 길이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하품 지속 시간과 뇌의 크기, 그리고 뇌의 신경세포의 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중요한 연관성을 발견했다. 더 큰 뇌와 더 많은 신경 세포를 가진 동물들이 더 오래 하품을 했다.

    인간의 평균 하품은 6초, 그리고 뇌가 훨씬 작은 쥐는 1.5초동안 하품을 한다.

    만약 내가 하품을 너무 자주한다면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우리는 지루함을 표시할 때 종종 하품을 하는 제스처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연구는 사람들이 대화 중 하품하는 것은 오히려 뇌를 과부화시키지 않고 집중하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