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보람찬파리71
보람찬파리71

허블법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허블법칙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으며 어떤 과학자 만들고 어떻게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었는지 등장과정 현대에도 사용되는지 등이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은하가 지구로부터 멀어져가는 속도가 지구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는 천체 관측 법칙이다. 이 법칙은 약 10 년간의 관측 끝에 1929년 허블(E. Hubble, 1889-1953)과 휴메이슨(M. L. Humason, 1891-1972)이 발표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허블 법칙 [Hubble's law] (물리학백과)

      외부 은하로부터 오는 빛의 스펙트럼에서 보이는 적색편이가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적색편이는 도플러 효과에 의해 광원이 관측자로부터 멀어질 때 생기며, 그 편이의 크기는 후퇴하는 속도에 비례한다. 허블은 46 개의 외부 은하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지구로부터 멀어지는 후퇴 속도가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결론을 얻고 이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허블 법칙은 우주 팽창론의 첫 번째 관측 증거이며, 또한 빅뱅에 대한 증거로도 널리 인용된다. 후퇴속도와 지구로부터의 거리 사이의 비례 상수는 허블 상수라고 불린다. 2018년 7월 발표된 유럽 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 플랑크(Planck) 위성의 관측 자료에 따르면, 허블 상수는 67.66±0.42 (km/s)/Mpc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허블 법칙 [Hubble's law] (물리학백과)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풍선을 불기 전에 점을 몇개 찍은 후

      풍선을 불면 점은 서로 점점 멀어지겠죠?


      이와 같이 학자 허블은

      모든 은하들이 우리와 멀어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논문과 함께 이 내용을 발표합니다


      논문의 핵심은 "모든 은하들이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그리고 허블법칙은


      은하의 거리가 멀 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


      위에 말씀드렸던 풍선의 점을 찍으시고 풍선을 불어보시면

       풍선을 불기 전에 점을 찍을때 같은 간격에 찍었어도

      풍선을 불면 떨어진 점일수록 더 간격이 멀리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주의 팽창이 이와 같다고 말하는게 허블법칙의 핵심입니다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이야기입니다

      v=Hd

      v는 은하의 후퇴속도

      d는 거리, H는 허블 상수입니다


      미국의 천문학자 베스토 슬라이퍼는 성운의 스펙트럼에서 나오는 도플러이동이

      은하수를 구성하는 별들의 최대속도를 종종 넘어서는걸 발견합니다

      그야말로 미스테리였죠


      이것을 연구하던 허블이 그 결과로 발표한게 허블법칙입니다

      그 외에도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함으로써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그리고 훗날 이를 바탕으로 빅뱅 이론이 탄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허블법칙은 지구에서 은하가 멀어져가는 속도는 지구에서의 거리에 따라 비례한다는 관측 방법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