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동독 서독의 상징 베를린 장벽은 언제 설치된 것입니까

동독 서독의 베를린 장벽은 독일민족의 분단의 상징 이었는데요 . 장벽이 붕괴되면서 독일은 통일을 맞았습니다 베를린 장벽은 언제 설치된 것입니까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1년 8월 13일 동독(독일민주공화국)이 세워졌다고 합니다.

      냉전 시기에 동베를린의 서쪽 경계선에 존재했던 장벽으로, 냉전과 독일 분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1989년 11월 9일에 동서 베를린 시민들에 의해 붕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를린 장벽은 1961년 동독 정부가 인민군을 동원해 동베를린과 서방 3개국의 분할점령 지역인 서베를린 경계에 쌓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1년 동독 정부가 인민군을 동원하여 동베를린과 서방3개국의 분할점령 지역인 서베를린 경계에 쌓은 콘크리트 담장.

      1945년 5월 8일 나치스 독일이 연합군에 항복하자, 그해 2월에 있은 미국·영국·소련의 3국 정상 얄타회담에서 이미 독일의 처리방법을 결정한 대로 프랑스까지 합하여 4개국이 분할 점령해 최고통치권을 이어받았고, 동독 안에 있는 수도 베를린도 4개국이 분할 점거하게 되었다. 이 분할 독일에 대한 처리방침은 그해 8월 포츠담에서 열린 미·영·소 3국 수뇌회담에서 나온 ‘포츠담선언’으로 보다 구체화되었다.


      이 의정서에 따르면 독일에 당분간은 중앙 정부를 두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정치·경제적 통일성의 유지에 관한 것은 명문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비(非)나치화, 즉 민주화에 있어서는 4개국이 제각각 그 해석을 달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국의 점령지역에서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군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런 상황하에서 1946년 12월 미·영 양국의 점령지구가 경제적 통합을 이룩함으로써 동서 분열의 빌미를 제공하였으며, 그것이 베를린봉쇄 이후 최대 현안이 된 ‘독일문제’의 실마리가 되었다. 이후‘독일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4개국 외무장관 회의가 종종 열렸으나, 사사건건 미국과 소련측의 의견이 대립하여 충돌함으로써 1947년 4개국 외무장관 회의가 결렬되고, 이듬해 소련측이 독일관리이사회에서 탈퇴함에 따라 그 기능도 정지되고 말았다.


      이후 동·서독의 분단이 완전히 고착되자 동독에서 서독으로 월경해 오는 사람들이 날로 늘어났다. 동독 정부는 궁여지책으로 동·서 베를린 사이에 40여km에 이르는 길고도 두꺼운 콘크리트 담장을 쌓게 되었는데, 이것은 곧 동서 냉전의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이 장벽을 쌓은 후로는 브란덴부르크문을 통해서만 허가를 받아 왕래가 허용되었다.

      소련의 공산주의 체제 붕괴에 잇따라 독일 통일이 추진되면서 1989년에 이 장벽도 다 철거되고 브란덴부르크문을 중심으로 한 약간의 부분만 기념물로 남겨졌다.

      출처 :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를린 장벽은 1961년 8월 13일에 세워졌습니다.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을 분리하기 위해 동독이 건설한 물리적 장벽이었습니다. 장벽은 냉전과 동유럽과 서유럽의 분단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그것은 1989년 11월 9일까지 물리적, 이데올로기적 경계로 서 있었고 결국 철거되어 독일 통일로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