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1.26

동독과 서독이 통일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

우리 나라는 현재 남과 북으로 갈라져 있잖아요 예전에 독일도 동독과 서독으로 갈라져 있었다고 하던데 하지만 통일이 되었잖아요 통일이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서독의 통일 배경은 공산주의 중심 국가인 소련의 고르바쵸프의 페레스토리카(개혁), 글라스노스트(개방)을 추진하면서 미국과 군축과 평화 협상을 진행하고, 동유럽에 대한 불간섭 원칙을 선언하여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 운동에 방해하지 않는다고 천명했어요.

    이 선언은 독일의 통일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1989년 11월 9일 동독 정부가 국경 통제를 완화하면서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동서독은 주민들이 자유롭게 교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동독의 공산주의 체제는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위기에 직면하고, 민주화 운동이 확산되었습니다.

    동독의 신속 정권은 독일 통일을 위해 서독의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와 협상을 시작하여 동서독은 5월 5일 4대 전승국인 미,소,영,프가 본에서 `2+4 회담’을 구성하여 1990년 8월 31일 통일조약에 서명하고, 1990년 10월 3일 통일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독, 서독의 통일 배경이 궁금하군요.

    독일의 통일은 1952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처음으로 제안했다고 합니다. 이는 폴란드와 독일 사이의 국경인 오데르-나이세선(Oder-Neisse) 서쪽의 독일을 중립국으로 만들며 모든 군대를 1년 안에 철수시킨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콘라트 아데나워가 이끄는 서독 정부는 국제적인 주도 아래의 선거를 열어 협상을 하자고 제안했지만 소비에트 연방은 이를 거부했습니다. 스탈린은 또한 독일이 바르샤바 조약을 받아들여 바르샤바 조약기구로 남는다면 1937년 기준의 국경선을 보장해 주겠다고도 제안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서독(독일연방공화국)의 동방정책, 미디어의 영향, 통행의 자유, 경제적 격차의 최소화가 통일의 배경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방 정책에 근거하여 냉전 체제를 극복하려는 외교노력 외에도 서독 텔레비전(ARD, ZDF)도 독일의 재통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3년 동독 정부는 서독 텔레비전을 볼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미 동독 인민의 50%가 서독 텔레비전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서독 TV를 보지 못하게 할 수 없었고, 인민들이 브라운관에 비친 자본주의 체제의 결함을 보면서 동독 공산주의 체제의 상대적인 우월성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독 정부의 계산은 맞지 않았다. 인민들이 브라운관에 비친 서독 사회의 풍요로움과 자유를 보면서 동독 정부에 반감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3]

    실제로 동독 정부의 서독 텔레비전 시청 허용의 여파는 매우 컸다. 동독의 한 유치원 교사가 텔레비전 뉴스 방영 전에 방송하는 시계 화면을 유치원생들에게 그리라고 시켰는데, 80%가 서독 텔레비전 뉴스 방영 전에 방송하는 시계 화면을 그렸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