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숙련된하이에나116
숙련된하이에나11623.11.11

공매도는 손해를 봐도 계속하는 건가요?

요즘 주식 시장을 보면 공매도를 금지시켰는데도 우회적으로 공매도를 한다고 하는데요 나중에 손해를 볼 거 같은데도 계속하는 거는 이유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에서 공매도 전면금지라는 발표를 했으나, 실제로 예외가 있습니다. 시장조성자의 공매도는 예외인데요.

    그러다 보니 공매도 금지 이후에 공매도 금액이 더 늘어났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바로 시장조성자의 공매도는 더 늘었다는 것이지요

    공매도 금지는 한시적으로 짧은 기간 주가를 상향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주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친 적이 없는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가는 결국 기업의 내제가치를 추종하지 공매도 같은 외부여건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의 포지션을 유지하는 이유는 해당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또는 확신)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예상대로 하락하여 매도 비용 대비 저렴한 매수가로 주식을 상환한다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겠지만, 반대의 경우는 어떨 수 없이 매도 배디 고가로 주식을 매수하여야 하며 손실을 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의 경우에는 손해를 봐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공매도를 통해서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수익을 보기 위해서 하는 것이에요. 실제 주식시장에는 현재 이렇다할 호재가 없는 반면에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등 여러가지 악재가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하락할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와 같은 경우에는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풍부하게 하고

    주가의 거품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인 등 있어야 하는 제도입니다.

    외인이나 기관이라고 하여도 항상 이득을 보는 것만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 금지로 현재 국내시장에서 외국인과 개인은 공매도를 할 수 없으나 기존 시장조성자 역할을 하던 국내대형증권회사 대분분은 공매도가 여전히 가능합니다.


    공매도 목적은 주가 하락 전망에 따라 시세 차익을 얻기위해 하기도 하지만 대형기관은 포트폴리오의 헷지목적으로도 합니다. 즉 전체적으로 투자자산이 시장상승시 이익이 나는 구조라도 일부 투자비중은 수익 하락시 수익이 나는 상품에도 분산투자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한도가 있어서 일정한도 손해를 넘을경우

    모든 공매도자산이 청산되어 날리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