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체의 전기장에 관해서 궁금한점 있습니다.
보통 도체에는 자유전자가 있어서 전기장을 상쇄해 평형이 될때까지 이동한다고 알고있는데요.
자유전자를 다 동원해도 상쇄가 안될정도의 전기장이 걸리면
어느정도는 도체 내부에도 전기장 있을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그런 전제 자체가 실현 불가능한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인론적으로 와전한 도체는 내부에 전기장아 존재하지 않도록 자유전자가 이동해 전기장을 상쇄하지만 현실에서는 전자밀도가 반응 속도의 한계로 인해 순간적으로 약한 전기장이 내부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매우 강한 외부 전기장이 걸리면 도체 내부도 완벽히 무전장이 되지 못하고 미세헌 전기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극히 짧은 시간 또는 비정상 상태에서만 가능하며, 곧 평형을 이루려는 전자 이동으로 전기장은 거의 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체에는 자유전자가 있어서 전기장을 상쇄해 평형이 될때까지 이동한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만약 상쇄가 안될정도의 전기장이 걸리면 도체 내부에도 전기장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체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체는 전기장이 걸리면 그 안에서 자유전자가 이동하여 전기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전기장이 너무 강하거나 도체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상쇄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도체 내부에도 일부 전기장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일반적으로는 도체 내부에서도 전기장이 완벽하게 상쇄됩니다. 따라서 도체의 전기장에 대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도체는 전기장을 상쇄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