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옹골진박쥐51
옹골진박쥐5124.03.05

해수면 높이 결정 기준이 뭔가요

해수면이 높아지고 낮아지는 그러한 현상의 결정 기준이 뭘까요??


해수면이 높아지면 증발하는 물이 상대적으로 덜하다는거니까

기온이 낮을때 즉 빙하기일때 해수면이 높고

기온이 높아지면 바닷물이 많이 증발하니까

기온이 높을때 해수면이 낮아지는 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면이 높아지고 낮아지는 현상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후 변화입니다. 기후 변화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기온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해수면이 높아지는 경우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기가 녹아 해양에 녹은 빙하기의 양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리고 기후 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증가하고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바다의 물이 더 많이 증발하게 되어 해수면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면 바다의 물이 증발하는 양이 증가하게 되어 해수면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후 변화로 인해 바다의 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바다의 물이 팽창하게 되어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보다 낮아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후 변화를 고려하면서 바다의 물 온도 강수량 빙하기의 양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해수면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이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면의 변화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며

    단순한 기온 변화만으로 설명될 수 없습니다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빙하기에 해수면이 낮아지는 이유는

    대규모 빙하와 얼음이 형성돼 해수가 대량으로

    육상 글레시어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해양으로의 수분 회귀가 줄어들어 해수면이 낮아집니다

    반대로 기후가 따뜻해지면 얼음과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합니다

    바닷물의 증발은 해수면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칩니다

    증발된 물은 비로 다시 바다와 육지에 돌아와므로

    장기적인 해수면 변화에 크게 기여하지 않습니다

    해수면 상승의 주된 요인으로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방 빙하의 융해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의 팽창 그리고 육지에서

    해양으로의 물 유입 증가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해수면 높이에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기후 온난화 상황에서는 해수면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해수면의 오름과 내림을 결정하는 데는 해양 순환 대기 조건

    해양 온도 그리고 빙하와 얼음의 변화 등이 관여합니다

    이것들이 상호 작용하여 해수면 높이가

    정해지므로 단순히 증발량과 기온의 상관관계로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면의 높낮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기온이 높을 때 바닷물이 증발하여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해수면의 높낮이를 결정하는 유일한 요인은 아닙니다. 다른 요인으로는 지구의 중력, 바람, 해양 조류, 달과 태양의 조합된 중력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의 기울기와 어떤 지역의 지형도 해수면의 높낮이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