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수술했는데 이관이 막혔다합니다 이관 개방은불가능한가요?
이관이 선천적으로막혀있다합니다
만성중이염으로 귀수술받고 알았네요
수술받은지 몇년이 지났는데 계속 중이염 재발합니다
이관이선천적으로 막히면 못고치나요?
많이 불편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관개방증 환자들의 증상은 일과성부터 일상생활에 지장이 큰 경우까지 다양하다. 임신 기간 중 발생한 일과성 증상은 출산 후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과도한 다이어트로 갑자기 체중이 감소한 경우는 체중이 회복되면서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이런 일과성 증상이 아닌 경우에는 환자의 사회적 활동에 현저한 장해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비수술적 치료
우선 환자에게 증상의 원인에 대한 충분한 설명으로 안심 시켜야 할 것이다. 비강국소스테로이드제제, 비점막수축제 등의 약물치료를 하고 있다면 중지시켜야 한다. 약물치료로는 이관의 비인강 개구부 점막의 부종을 일으키는 Estrogen 제제를 하루에 3번 비강에 점적할 수 있다. SSKI(Saturated solution of potassium iodide)를 하루에 3번 물에 타서 마시는 방법을 통해 비인강 점액의 점도를 높이는 치료를 해 볼 수 있다. 또한 Atropine의 항콜린 비강분무를 통해 좋은 효과를 보고한 경우도 있고, 국내에서도 항콜린 비강분무제인 Iprapium bromide로 효과 있었다는 보고도 있어 초기 치료로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이관 주변의 Acetylcholine 양성인 신경에 있는 Muscarine 수용체에 대한 Atropine의 분비액 기능 억제효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수술적 치료
고막 절개와 환기관 삽입술, 비인강 이관 개구부 주입술, 비인강 이관 개구부 재건술, 중이강 이관 개구부 카테터 삽입술 및 이관 폐쇄, 구개범장근 전위술 및 익돌구 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있으며 안정이나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오래 지속된다면, 환자와 상의하여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