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두가지 심부름은 잘 안되는거같아요

제가 걱정하는부분은
제가 질문형으로 지금까지 물어본적이 없긴 한데
뭘 물어보면 대답을 안해요
안아달라고 와서 두팔로 제 목을 껴안고 일어나라고 엉덩이를 들썩이면 제가 “안아줘요?”물어보면 대답을 안합니다 계속일어나라고 엉덩이들썩들썩 손으로 제옷을 위로 끌어당겨요
행동만보고도 의사는 다 전달되는거 같아요
심부름은 곧잘 하나 두가지 심부름은 잘 안되는거같아요
딸기아빠줘요 하면 못하고 딸기주면서 아빠줘요 하면 아빠줘요
물론 이것도 이번에 처음 시켜보았습니다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심부흠을 함께 하면서 방법을 알려주세요. 함꼐 하면서 아이가 과정을 배우도록 하고, 나중에는 독립적으로 할 쉬 있도록 유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심부름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주세요. 한번에 하나씩 시켜서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게 도와줍니다. 먼저 물건을 가져오고 그 다음에 방을 정리해 달라는 것처럼 구체적으로 지시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두 가지 심부름을 잘 못하는 것은 발달 과정에서 흔한 일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아직 복잡한 지시나 여러 단계의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하는 능력이 발달 중이기 때문에, 한 가지 심부름을 잘 수행하면서도 두 가지 이상의 지시를 받으면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문에 대답을 하지 않고 행동으로 반응하는 것도 아이가 언어보다 비언어적 소통을 선호하는 시기의 특징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지시를 간단하게 나누어 주거나 한 가지씩 차근차근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딸기를 주고, 그 다음에 아빠에게 가져다 줘"라고 단계를 나누어 설명하면 아이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의 이해력과 처리 능력이 자연스럽게 발달하게 될 테니 크게 걱정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제가 걱정하는부분은
    제가 질문형으로 지금까지 물어본적이 없긴 한데
    뭘 물어보면 대답을 안해요
    안아달라고 와서 두팔로 제 목을 껴안고 일어나라고 엉덩이를 들썩이면 제가 “안아줘요?”물어보면 대답을 안합니다 계속일어나라고 엉덩이들썩들썩 손으로 제옷을 위로 끌어당겨요
    행동만보고도 의사는 다 전달되는거 같아요
    심부름은 곧잘 하나 두가지 심부름은 잘 안되는거같아요
    딸기아빠줘요 하면 못하고 딸기주면서 아빠줘요 하면 아빠줘요
    물론 이것도 이번에 처음 시켜보았습니다 ㅠㅠ

    "딸기가 빨갛게 잘 익었네"

    "빨간색 딸기먹어보자"

    "아이 세콤달콤해"

    "엄마 따라해봐봐"

    "빨간색 딸기"

    "빨간색 딸기"

    "이젠 ㅇㅇ가 빨간색 딸기를 아빠 주세요"

    이렇게 구체적으로 천천히 알려주시고 말도 가르쳐주세요~~

    '아빠에게 딸기 주세요' 했을때아빠에게 잘주가져다 주었다면 아이는 '딸기', '아빠', '주다'를 모두 이해하고 행동으로 옮긴것입니다.

    "참 잘했어요" 라고칭찬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직까지 언어 처리 능력이 발달 중일 가능 성이 큼니다.

    간단한 짧은 문장을 시작해서 조금씩 길이를 늘려보세요.

    문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천천히 말해 주세요.

    언어가 퇴화 한다는 느낌을 받거나 상호작용이 안되는 느낌을 받으면

    전문상담을 받으시길 추천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아직 말을 능숙하게 하지 못해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이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어떤 요구사항이 있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게 대응해주시면 됩니다.

    두 가지 이상의 지시를 내릴 때는 한 번에 하나씩 차례대로 수행하도록 유도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거실에 가서 리모콘 가지고 와서 엄마한테 주세요"라는 식으로 단계별로 지시를 내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가 혼란스러워하지 않고 각각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질문에 대해 대답을 하지 않을 때는 목소리 톤이나 표정 등을 살펴보면서 상황을 파악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직접 물어보지 않고 알아맞혀보는 시도를 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서 아이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이가 아직 어린 나이이기 때문에 완벽하게 심부름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조금씩 연습하면서 점차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격려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