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가 있는 아이 나중에 어떻게 감당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조카가 6살인데 지적장애가 있는듯합니다.
아직은 어리기때문에 부모가 감당이 되지만 몇년 후 덩치가 커지고 힘도세지면 아이가 감당이 되지 않을것같습니다.
이런 아이 어떻게 보살펴야 할까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지적장애가 있어도 사회구성원으로써 제몫을 충분히 할수 있습니다. - 지자체의지원 그리고 부모님의 헌신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는 성인이 되었을 때 적응 기술 훈련, 사회성 증진 훈련, 직업 훈련 등을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지적장애가 있다고 할 지라도 이 아이가 사회에서 사람들과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자립심 및 독립심을 길를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 - 요즘은 치료센터 기관에 우리 아이들과 같은 아이들이 자립심과 독립심을 키울 수 있도록 좋은 교육 및 교구 그리고 직업교육이 세분화 되어 있습니다. - 학교 수업과 센터기관에 지도를 꾸준히 받는 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지적 장애 아동도 어떤 영역은 부족하지만, 어떤 영역은 상대적으로 뛰어날 수 있습니다. - 아이의 잠재력을 파악하여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고 뛰어난 부분에는 긍정적인 자극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아이의 잠재 능력과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해 적절한 방법의 치료가 이뤄진다면-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고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또래와 비슷한 수준의 사회생활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지적 장애 아동의 경우 하루라도 빨리 치료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 영유아와 아동기 치료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는데 - 언어 치료와 놀이 치료, 감각통합적 치료가 그것입니다. 아이들의 능력에 따라 - 그 이후의 치료적, 교육적 개입도 달라집니다. - 지적 장애를 가졌다면 언어 표현력이나 어휘력이 다른 아이들에 비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이에 언어 치료를 통해 언어 이해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 놀이 치료를 통해 생각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이들 치료를 통해 아이가 다른 사람들과 - 상호작용하는 능력이 향상됩니다. 감각통합적 치료는 아이의 신체적인 감각 예민함 - 정도를 파악, 각 감각을 느끼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