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행운의남생이230
행운의남생이23023.01.24

삼국시대 시절 사람들의 장례 문화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현대 사회 사람들은 죽게 되면 무덤에 묻히거나 화장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례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과거 삼국시대 사람들은 죽게 되었을 때 장례 문화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 고구려인들은 결혼을 하자마자 수의를 만들며, 가족이 죽으면 시신을 집에 안치했다가 3년이 지난 후 좋은 날을 택해 장례를 치뤘습니다.

    또 부모와 남편이 죽으면 3년간 상복을 입고, 형제일 경우 3개월을 입었습니다.

    장례 때 상주는 곡을 하며 울고, 조문객들은 북을 치고 춤추며 노래를 불렀습니다.

    또 죽을자를 따라 같이 무덤에 묻히는 순장의 풍속이 있었으며, 매장이 끝난 후 고인이 평소에 사용하던 물건들을 무덤 주위에 빙 둘러놓고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들이 가져갔습니다.

    백제-고구려와 비슷합니다. 당시 백제의 종교는 불교였기때문에 화장을 한 후 뼈를 추려 땅속에 묻는 매장법이을 이용했습니다.

    신라- 신라는 지증왕때부터 왕과 부모, 처자가 사망했을 때 모두 1년 동안만 상복을 착용하도록 했습니다.

    또, 순장을 금지했습니다.

    통일신라 이후 불교의 법식에 따라 일반인들 사이에서 화장이 성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