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변이종은 예방 안되나요?
서울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엄청 나거 나오고 있네요
변 이종 때문인지도 그러믄 앞으로도 계속 가는건가요?
이대로 계속 간다믄 끔찍한데 이거 종식 되는 날이 과연 올까요ㅡ? 너무 답답 하네요 정말 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바이러스는 유전자 구조가 RNA로 되어 있으며 RNA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돌연변이가 생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변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코로나가 완전히 종식되기에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구에 따라 다르지만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의 경우 델타변이에 대해 60~70%정도의 저항성이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변종에도 더 효과적인 백신이 향후에 개발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계속적으로 증식하는 과정에서 돌연변이를 만들어 냅니다. 이로 인해서 변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미 메르스나 사스 같은 코로나 변이가 유행한 적이 있었지요. 앞으로도 계속 변종은 나올겁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기존에 접종한 백신 자체의 효과가 무용지물인 것은 아닙니다. 다만 바이러스의 특성상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온다면 이에 맞는 백신과 치료제가 나와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현재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기존에 나온 백신들의 예방률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추후에 나올 변이 바이러스에 얼마나 효과적일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영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효과가 화이자는 87%, 아스트라제네카는 60% 수준으로 밝혔습니다.이스라엘에서는 화이자도 60%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기존 바이러스 유형에 맞춰서 개발된 백신이므로 변이바이러스에는 취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독감이나 감기가 매년 기승을 부리듯이 코로나도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개인 방역으로 최대한 감염되는 빈도를 줄이고, 백신을 맞아서 독감처럼 걸리더라도 치명률을 떨어뜨리는 방법이 가장 현명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변이 바이러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예방접종의 경우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수준의 면역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을 함으로서 예방이 가능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WHO는 매주 백신 보고서에서 관심 변이를 검토하고 업데이트 합니다. 지역별로 변이 바이러스의 점유율도 다르고 전파속도도 다릅니다. 하지만 중요 변이로 등재되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나 치명력이 더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주목하는 뮤 바이러스는 벨기에 요양원에서 7명 감염사례중 접종 완료자 전원이 사망한 사례가 있어 치명률에 대한 주의를 요하고 관찰중에 있습니다.
현재 개발된 화이나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스푸트니크 외에는 추가적인 백신이 승인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델타변이에 압도적인 성적을 보이지 않는 이상은 현재 보급된 백신으로 대처해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백신접종을 2차까지 완료한 경우, 2주정도 후에 충분한 면역효과가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델타변이바이러스에 의한 돌파감염이 지속되고있습니다. 따라서, 감염가능성은 있습니다.
차후 접종후 6개월뒤에 추가접종가능성이 있습니다. 향후 정부의 지침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