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12.30

눈은 어떻게 해서 쌓일 수 있는 것인가요?

눈은 보통 내리자마자 땅의 온도가 있다보니 바로 녹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 눈 오는 것을 보면 눈이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눈은 어떻게 해서 사람들이 다니는 길에서도 녹지 않고 쌓일수 있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쌓이는 것을 보셨다니 재미있는 관찰이시네요. 눈이 쌓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눈은 땅의 온도가 0도 이하일 때 내리는 강수입니다. 따라서 땅의 온도가 0도 이하인 경우에는 눈이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눈은 땅의 온도가 높아지면 녹아서 물이 되는데 이 물이 다시 얼어서 눈이 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쌓이게 됩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다니는 길에서도 눈이 쌓이는 이유는 또 다릅니다. 사람들이 다니는 길은 보통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되어 있어서 땅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눈이 녹아서 물이 되어도 길 위에서는 빠르게 증발하거나 다른 물체에 흡수되어서 눈이 쌓이는 것을 막게 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다니는 길은 보통 자동차나 사람의 발로 인해 압력이 가해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 압력으로 인해 눈이 녹아서 물이 되는 과정이 더 빨리 일어나게 되어서 눈이 쌓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눈이 쌓이는 것은 눈의 구조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눈은 공기를 가두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눈이 쌓이면서 공기를 가두게 됩니다. 이 공기가 눈을 녹이는 온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서 눈이 쌓이는 것을 도와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땅에 떨어졌을 때 온도가 영하인 경우에는 눈이 녹지 않고 쌓입니다.

    특히 공기의 온도 뿐만이 아니라 지표면의 온도가 사실상 더 중요합니다.

    눈이 계속 되리면 공기의 온도도 추워지고, 지표면의 온도도 더 추워집니다.

    이 경우에는 눈이 녹지 않고 쌓일 수 있습니다.

    눈이 또 빠르게 내려서 쌓이면 지표면의 온도가 눈을 녹일만큼 높지 않아서 급속도로 눈이 쌓입니다.

    바람이 또 많이 불면 지표면의 온도가 급하강하여 눈이 녹지 않고 쌓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땅에 쌓이는 이유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서 눈이 녹지 않는 경우입니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 겨울철 기온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눈이 녹지 않고 쌓일 수 있습니다 또 눈이 쌓이는 속도가 녹는 속도보다 빠른 경우입니다. 눈이 내리는 속도가 빨리면, 눈이 땅에 쌓이는 속도가 녹는 속도보다 빠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눈이 쌓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온도: 눈이 쌓이기 위해서는 충분히 낮은 온도가 필요합니다. 만약 기온이 눈이 녹는 온도보다 낮다면, 눈은 쌓이게 됩니다.

    2. 압축: 사람들이 다니는 길과 도로는 자동차의 무게나 보행으로 인해 압축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눈이 밀착되고 압축되어 쌓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3. 표면 온도: 보통 보행로나 도로 표면은 지표면보다 약간 더 따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인간의 활동, 자동차 엔진의 열, 태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 온도가 얼음이 녹는 온도보다 낮으면 눈이 쌓일 수 있습니다.

    4. 강한 바람: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눈이 바람으로부터 보호되는 지형 요소나 구조물이 있을 때 눈이 쌓일 수 있습니다. 바람이 눈을 향해 부는 방향에서는 눈이 쌓이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