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8

스톡홀롬 신드롬은 뭘 말하는 건가요?

TV에서 스톡홀롬 신드롬이란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 스톡홀롬 신드롬은 정확히 무슨

말이고 어떤 상황에 쓰이며 언제 나온 말인지 궁금합니다.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1.18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부부사이에 있어서

    폭력을 당한 아내가 "이 사람이

    폭력적이긴 하지만 심성은

    착한 사람입니다" 와 같이

    오히려 가해자 남편을 옹호하는

    현상을 스톡홀름 증후군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톡홀름증후군(Stockholm syndrome)이란 인질사건에서 인질로 잡힌 사람들이 인질범들에게 정신적으로 동화되어 오히려 자신들을 볼모로 잡은 범인들에게 호감과 지지를 나타내는 심리현상을 말한다고 합니다.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은행에 침입한 4명의 무장 강도가 은행 직원들을 볼모로 잡고 6일간 경찰과 대치한 사건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톨홀름 신드롬은 인질이 납치범에게 동조하고 감화되어 납치범의 행위에 동조하거나 변호하는 심리현상입니다.

    이는 1973년 8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일어난 스톡홀름 크레디트반켄 은행 인질 사건에서 유래됩니다.

    얀에릭 올슨은 크레디트반켄은행에 침입하여 3명의 여자, 1명의 남자를 인질로 잡고 스웨덴 법무부장관과 협상에서 3가지 요구조건을 제시합니다.

    1.교도소에서 만난 친구이고, 당시 교도소에 복역중이던 클라르크 올롭슨의 석방 및 은행안으로 들여보낼것

    2. 300만크로네

    3. 탈출을 위한 무스탕 차량

    납치범들은 4명을 인질로 삼아 6일동안 경찰들과 대치했는데 납치범들이 인질들에게 공포감을 주면서도 친절과 호의를 베풀어 인질들을 쉽게 정신적으로 사로잡습니다.

    이들은 인질 중 한명이 가족과 연락하지 못하자 인질을 위로하고, 인줄 중 1명이 감기로 힘들어하자 코트를 벗어주기도 하고, 인질이 작은 방에 있는것에 공포를 느끼자 밧줄을 풀어주고 밖으로 나가게 했습니다.

    둘째날부터 인질들과 납치범들은 이름을 교환하고 인질들은 오히려 경찰을 더 두려워하기 시작합니다.

    경찰국장이 인질들의 건강을 검사하기 위해 은행 안으로 들어왔을 때 경찰국장은 인질들이 경찰에게 적대적으로 대하고 납치범들을 편히 느끼는 것을 깨닫고, 인질들은 오히려 납치범들을 경찰로부터 보고하기 시작합니다.

    경찰이 인질들과 납치범이 있는 금고에 최루탄을 발사하자 납치범들은 항복했고, 경찰은 인질들을 먼저 나오라고 요구하지만 납치범들을 끝까지 보호하던 4명의 인질들은 이를 거부합니다.

    금고에서 인질들과 납치범들은 서로 키스하고 포옹하고 악수하며 헤어졌습니다.

    경찰이 납치범을 체포하자 여성 2명의 인질이 납치범들을 다치게 하지 마세요. 우리를 해치지 않았습니다 하고, 인질 중 1명 크리스틴 엔마크는 들것에 실려가는 동안 수갑이 채워진 올롭슨에게 클라르크, 다시 만나요 라고 말하기도했습니다.

    납치범들이 검거된 후 인질들은 납치범들이 자신들에게 친절했고, 신체적으로 해를 끼치지 않았음을 주장하고 인질들에게 증언을 요청해도 오히려 범인을 변호하였습니다.

    이 사건이 스톡홀름 신드롬의 유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