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개가 치는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5세 아이 책을 읽어주다가 번개가 어떻게 치냐는 질문에 말문이 턱 막혔습니다
어떻게 설명 해 줘야 할까요? 쉬운 표현으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번개는 구름 속에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인데, 구름 안의 수많은 작은 얼음 조각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전기를 만들어냅니다. 이 전기가 점점 쌓여서 구름의 한 부분이 너무 많이 충전되면, 그 전기가 번개로 방출되면서 빛이 번쩍입니다. 이를 통해 구름에서 땅으로, 또는 다른 구름으로 전기가 이동하게 되죠. 쉽게 말해 하늘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한 번에 쏟아지는 것을 번개라고 할 수 있어요. 아이들에게는 번개가 하늘에서 생기는 전기의 '빵!' 터지는 순간이라고 설명하면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번개는 하늘에 있는 구름 속에서 발생해요. 구름은 작은 물방울과 얼음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이 서로 부딪히면 전기가 생겨요. 이 전기는 보통 위쪽은 양전하, 아래쪽은 음전하로 나뉘어요. 어떤 순간이 되면, 구름 속의 전기들이 하늘에서 땅이나 다른 구름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번개가 치는 거예요. 어린아이들이 보기에 번개는 하늘이 전기 스파크를 만들어내는 커다란 불꽃놀이 같다고 설명해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 예요~
구름 속에는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있어요~
작은 물방울들끼리 부딪히고 문지르다보면 전기가 모여서
우르르 쾅쾅하면서
번쩍하고 번개가 생겨나요~
거대한 불꽃이 번쩍 번쩍하고 꽝하는 소리가 들리기 되어요~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대기 중에 양의 전하와 음의 전하가 서로 충돌하여 발생합니다. 구름 내부에서 양의 전하가 상승하면서 위로 올라가고, 음의 전하는 구름 아래로 내려갑니다. 이런 과정에서 구름과 지표 간에 전하 차이가 발생하면, 전하가 흐르는데 이것이 번개입니다.
전하가 흘러가는 동안 공기가 가열되고 팽창되어 폭발하는 소리가 나며, 번개의 광선도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구름 내부에 분리 축적된 음전하와 양전하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꽃방전을 합합니다. 그러나 대기는 전도체가 아니 기 때문에 전하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당한 전위를 가져야 되는데, 양쪽 전하 중심 사이의 전위차가 수백만∼수억 볼트에 이르면 방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 속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전기 방전 현상으로, 구름 내부의 전하 분리가 필수적입니다. 구름 속의 얼음 알갱이들이 부딪히면서 마찰 전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양전하는 구름 상단과 음전하는 하단이 형성됩니다. 구름 내부의 전위차가 엄청난 값에 도달하면, 방전 통로가 형성되고 이로인해 번개가 발생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