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Panda
Panda23.08.28

우리나라가 여름에 유독 습한 이유가 뭘까요?

우리나라는 여름만 되면 너무 습해서 불쾌지수와 땀이 나는데요. 너무 습한 나머지 다른 나라 사람들도 견디기 힘들정도입니다. 유독 이렇세 습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습한 이유는 몇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우선, 남태평양 고기압이 강해지면 수증기의 이동 경로가 북상하게 되어 한반도로 습한 공기가 유입되게 되구요

    여름철에 기온이 높아지면 공기중의 수증기가 증발하여 대기중에서 수증기의 양이 점점 더 늘어나게 되어 공기내 습한 비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해안선이 길고 산이 많은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해상에서 수증기가 더 쉽게 육지로 이동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이 같은 현상이 더욱 확대될 수 있는 것입니다.

    최근, 기후의 패턴이 변화하는 것도 더욱 습한 날씨가 자주 나타나게 하는 원인 일 수도 있구요

    이처럼..여러 요인들이 상효 작용하여 우리나라를 점 점 더 여름철 습한 날씨로 만드록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여름에 유독 습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우리나라는 남해와 동해를 끼고 있어 해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양성 기후는 여름철에 고온다습한 기단이 덮이면서 습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둘째, 우리나라는 산맥이 많은 지형입니다. 산맥은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우리나라의 산맥은 동해와 남해를 가로질러 있어 바람이 내륙으로 들어오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바람에 실려 온 수증기가 지상에 머물게 되어 습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유독 습도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 주변에는 바다가 많이 있어 해수증발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바다로부터 수증기가 상승하여 대기 중에 포화수증기량이 높아지면 습도가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