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펜재 대한 이해가 부족 합니다.무엇인가여?
경제 관련 내용중에 보면 기펜재 에 대해 나오는데 이해가 부족 합니다. 소득 효과와 대체 효과에 대한 이해두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 효과와 대체 효과는 재화의 가격이나 소비자의 소득이 변할 때 재화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입니다. 소득효과는 가격의 변화가 소비자의 구매력에 영향을 미칠 때 수요되는 재화의 양의 변화를 말한다. 대체 효과는 가격 변화로 인해 소비자가 대체재로 전환할 때 수요되는 재화의 양의 변화를 말합니다.
기펜재의 경우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를 압도하여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을 이룬다. 즉, 기펜재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도 늘어난다. 이것은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수요량이 감소하는 전형적인 우하향 수요 곡선과 대조됩니다.
그 이유는 기펜재가 저소득층 사람들이 자주 소비하는 열등재이기 때문입니다. 기펜재의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의 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재화에 쓸 돈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기펜 재화에 더욱 의존하게 되고 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기펜 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제의 경우 소득이 증가할수록 해당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불량식품의 경우 소득이 증가할 수록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표적인 기펜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제와 같은 경우 가격의 하락(상승)이 오히려 수요량의 하락(증가)을 가져오는 재화로
기펜재의 경우 가격과 수요량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역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요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기펜재(Giffen Good): 수요가 가격 상승과 함께 증가하는 특이한 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감소하지만, 기펜재는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더 많아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요자들이 식량, 가난, 보급 효과 등으로 인해 대체 상품을 구매할 여력이 없는 경우 발생합니다.
소득효과(Income Effect): 소비자의 구매력이 변할 때 발생하는 상품 수요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수입이 증가하면 구매력도 함께 증가하므로 일반적으로 수요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수입이 감소하면 구매력도 함께 감소하므로 수요가 감소합니다.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상품 가격이나 소비자의 소득에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하는 대체 상품의 수요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가격이 상승하면 대체 상품의 가격대비 가격이 비싸지므로, 대체 상품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면 대체 상품의 수요는 감소합니다. 또한, 소득이 증가하면 고가의 상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대체 상품의 수요도 증가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제라는 단어에서 사용되는 '기펜'이라는 단어는 영국 경제학자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소득효과에 의해서 가격이 낮아질 때(올라갈 때) 수요도 함께 감소(증가)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소득과 수요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재화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펜재에 대해서 예시를 하나 들어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A라는 마을에서는 당근과 돼지고기 2종류의 음식만을 팔고 있는데, 사람들은 돼지고기 보다 당근이 저렴하다 보니 당근을 주식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마을에 가뭄이 들어서 당근의 수확량이 감소하면서 당근 가격이 5배가 증가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마을에는 당근 이외의 음식은 돼지고기 밖에 없는데 당근가격이 5배나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보다 저렴하여 당근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당근 소비량도 함께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기펜제들은 보통 대체물들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의 하락(상승)이 오히려 수요량의 하락(증가)을 가져오는 재화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