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펜재가 무엇이며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떨어지는 재화를 열등재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열등재 중에서도 특이한 기펜재라는 것이 있다고 하던데 어떤 것이며 사례를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의 하락(상승)이 오히려 수요량의 하락(증가)을 가져오는 재화를 말함.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학계에서 기펜재의 예로 흔히 인용되는 것은 19세기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의 감자입니다. 당시에는 소득이 매우 제한되어, 감자 가격이 오르면 고기같은 다른 음식을 사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감자는 가격이 오름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늘어났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로버트 기펜이 아일랜드인들이 감자의 가격이 올라가면 감자의 소비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리는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후에 이는 기펜재라고 이름지어졌는데 열등재이면서 소득 효과가 매우 큰 경우에서 기펜재의 성격을 띄는데 현실에선 이를 찾기 힘들었다고 합니다. 경제학자들은 기펜재의 성격을 갖는 상품을 찾아보려고 했는데 로버트 바탈리오 등은 동물의 경우 기펜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쥐가 눌러 단맛이 나는 루트비어와 퀴닌을 섞은 쓴맛 나는 물이 나오는 손잡이 두 개를 설치했는데 바탈리오 등은 실험을 통해 쥐들이 퀴닌을 섞은 물을 열등재로 인식하였는데, 쥐들은 오히려 퀴닌을 섞은 물을 얻기 위해 손잡이를 누르는 횟수가 오르는 등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더 자주 퀴닌 손잡이를 누르는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기펜재의 개념이 동물에게선 관찰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기펜재(Giffen good)는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증가하는 열등재입니다. 기펜재는 1848년 스코틀랜드의 경제학자 로버트 기펜이 처음 발견했습니다. 기펜은 1846년 영국의 곡물법이 폐지되면서 곡물 가격이 급등하자, 빵의 가격이 오르자 빵을 더 많이 사 먹는 사람들을 보고 기펜재라는 개념을 만들었습니다.
기펜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증가한다.
가격이 낮을 때 수요가 더 많다.
대체재가 없다.
기펜재의 사례로는 빵, 감자, 쌀, 라면, 화장지 등이 있습니다. 기펜재는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소득이 증가하면 기펜재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득이 증가하면 기펜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기펜재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득이 증가한 사람들의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득이 증가한 사람들의 구매력이 기펜재의 가격 상승으로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펜재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득이 증가한 사람들의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재라는 것은 소득효과에 의해서 가격이 낮아질 때(올라갈 때) 수요도 함께 감소(증가)하는 재화를 말하는데, 이는 소득에 따라서 수요 또한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재화들을 말하는 것이에요
기펜재에 대해서 예시를 하나 들어 설명 드린다면, A라는 마을에서는 당근과 돼지고기 2종류의 음식만을 팔고 있는데 사람들은 돼지고기 보다 당근이 저렴하다 보니 당근을 주식으로 많이 이용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마을에 가뭄이 들어서 당근의 수확량이 감소하면서 당근 가격이 5배가 증가하였는데, 마을에는 당근 이외의 음식은 돼지고기 밖에 없는데 당근가격이 5배나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보다 저렴하여 당근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당근 소비량도 함께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바로 기팬제 효과라고 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의 하락(상승)이 오히려 수요량의 하락(증가)을 가져오는 재화를 말합니다. 기펜재의 경우 가격과 수요량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역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수요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특징입니더. 대표적인 사례로는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서 감자가격이 하락하여 구매력이 증가하자 그동안 주식으로 해 온 감자에 신물이 나서 감자 소비를 줄이고 고기 소비를 늘린 사례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제는 가격의 하락(상승)이 오히려 수요량의 하락(증가)을 가져오는 재화로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서 감자가격이 하락하여 구매력이 증가하자 그동안 주식으로 해 온 감자에 신물이 나서 감자 소비를 줄이고 고기 소비를 늘린 사례가 대표적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재는 일반적인 열등재와 달리, 가격이 상승하면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이는 소득 효과가 대체 효과를 압도하기 때문인데, 기펜재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열등재여야 한다.
대체재가 없거나 매우 부족해야 한다.
수요자의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야 하지만, 다른 정상재를 살 수 없을 만큼은 높지 않아야 한다.
기펜재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19세기 아일랜드에서 감자 가격이 상승했을 때 감자 소비가 증가했다는 사례가 있습니다. 당시 아일랜드의 가난한 사람들은 감자를 주식으로 삼고 있었는데, 감자 가격이 상승하면서 가난한 가구의 실질 소득이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가난한 가구들은 감자의 대체재인 고기나 빵을 구매할 수 없게 되었고, 오히려 감자 소비를 늘리게 된 것입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례가 기펜재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구호품이나 공공서비스
담배
의약품
술
화장품
기펜재는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지만, 실제 경제에서 기펜재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제한적입니다. 이는 기펜재의 조건을 충족하는 재화를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펜재란 (Giffen good) 열등재가 가격이 오름에 따라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을 구매하는 현상으로
소득 효과와 연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