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떡뚜꺼삐
떡뚜꺼삐

말투와 말씨는 비슷한것 같지만 쓰임새가 다른것 같은데요

어느 작가의 책 제목에 "모든 관계는 말투에서 시작된다"의 말투와 그 여인은 참 말씨가 좋아 또는 곱다라고 하는데요, 말투와 말씨를 어떻게 구분하며 쓰임새의 사례를 들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둘 다 거의 비슷한 의미 입니다.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말씨는 약간 존대말에 가깝고 말투는 어감 상 약간 반말에 가까운 뉘앙스를 풍깁니다.

    말씨: 말하는 태도나 버릇 예)말씨가 공손하다

    말투:말을 하는 버릇이나 본새. 예)빈정거리는 말투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씨'의 사전적 정의는 "말하는 태도나 버릇"이고, '말투'의 사전적 정의는 "말을 하는 버릇이나 본새'입니다. 사전에도 유의어로 등록되어 있고, 사전에 등록된 예시 문장만 봐도 비슷한 쓰임새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씨는 말하는 태도나 버릇.

    예) 공소한 말씨, 바른 말씨, 점잖은 말씨,천박한 말씨, 말씨가 곱다, 학생은 공손한 말씨로 선생님께 질문을 했다.

    말투는 말을 하는 버릇이나 본새.

    예) 너 말투가 왜그래?, 우리 남편은 말투가 거칠고, 퉁명스럽워서 그렇지 마음은 따뜻한 사람이야.

    같은 의미로 쓰일때도 종종 있지만, 말씨와 말투가 쓰이는 게 조금은 다르죠.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투는 사람이 주로 사용하는 말의 성질을 의미합니다.

    인물이 주로 사용하는 단어에 따라 말의 성질이 많이 달라집니다.

    - 빈정거리는 말투

    말씨는 말하는 태도나 버릇, 말에서 느껴지는 감정 따위의 색깔, 주로 방언의 차이로 나타나는 말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말씨가 공손하다.

    - 잠시라도 틈이 나면 그의 말을 막으려는데 그는 그런 사정도 아랑곳없이 차가운 말씨를 줄곧 내뱉고 있었다.

    - 경상도 말씨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투와 말씨가 거의 비슷하게 쓰고 있습니다.

    말씨는 기본적으로 스타일을 이야기를 하며

    말투는 그것에 대한 버릇을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긍정적으로 이야기 할 때는 말씨를

    많이 사용하고

    부정적으로 사용할 때는 말투라고 사용을 할 때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투와 말씨는 비슷한 것 같지만, 쓰임새와 의미가 다른 용어입니다.

    말투는 말하는 방식이나 억양, 언어 사용 방식 등을 말하며, 특정한 집단이나 지역에서 사용하는 고유한 언어적 특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존댓말, 반말, 사투리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말씨는 사람이나 동물의 표정, 몸짓, 태도, 흐름 등을 말합니다. 사람의 말씨는 얼굴 표정, 몸의 움직임, 눈빛 등으로 표현되며, 이를 통해 상대방의 감정 상태나 태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든 관계는 말투에서 시작된다"는 문장에서 말투는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말투는 상대방에게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느냐에 따라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여인은 참 말씨가 좋아" 라는 문장에서는 말씨가 상대방에게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말씨가 좋다는 것은 상대방과의 소통이 원할하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말투와 말씨는 다른 의미를 가지며, 서로 다른 쓰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말투는 지역 사회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언어를 배우는 데 사용되며, 말씨는 상대방의 감정 상태나 태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