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범한앵무새123
비범한앵무새12323.09.01

병자호란 역사에대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병자호란이 일어난 원인 중 배경으로 인조와 서인세력의 친명배금 정책 때문이라고 말해도 되는건가요???

또 다른 이유도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어난 일본의 조선 침략전쟁으로, 조선 왕조의 위기와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전에는 조선과 일본이 외교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경제 및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었습니다.

    일본의 의지: 일본은 확장과 무역을 통한 경제적 발전을 추구하며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지를 가졌습니다. 이를 위해 조선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에게 매우 유리한 목표였습니다.

    기회의 발생: 16세기 후반 조선은 외적인 침략 위협을 경계해야 했지만, 내란과 왕권 쟁탈 등 내부적인 동요로 인해 군사적인 준비가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일본은 조선의 내부적인 불안정을 이용해 침공의 기회를 강타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군사적 강함: 일본은 당시 세계적으로 발전된 군사 기술과 함선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외국인 상인과 교류하며 선진 기술을 습득한 일본은 조선의 군사력을 압도할 수 있었습니다.

    장년대왕의 사망: 조선의 장년대왕인 선조가 사망한 후 왕위 계승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왕권 쟁탈과 왕실 내 분열이 일어나 조선은 내부적인 불안과 무력화된 상태에 처해있었습니다.

    정치적 난제: 조선은 일본과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싶었지만, 이에 반대하는 보수적인 세력과 혼란을 일으키는 사건들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왕조의 통일된 대응이 어려워졌고, 외부의 침략에 대비하는 조치도 취하지 못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원에서 강력한 힘을 가진 후금은 조선에 명나라를 멀리하고 조공을 바칠 것을 강요합니다. 그러나 조선은 친명배금정책을 고수하자 후금 즉 청나라는 조선을 침략합니다. 너무 빠른 속도로 진격해와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하지 못하고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45일간을 버텄으나 강화도의 왕실가족을 볼모로 이용하자 인조는 삼전도에 나와 삼배구고례라는 치욕스러운 모욕을 당하게 되고 청은 소현세자와 비 등을 인질로 삼고 조공을 바칠 것과 군신의 예를 다할 것 등을 요구하고 돌아갑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친명배금 정책을 쓰는 조선이었기에 청나라를 배척해서 생기게된 원인이며 결국 쳐들어올 핑계거리를 만들어준 것 입니다.

    청나라가 결국은 힘이 강해지자 군신관계를 요구하지만 조선이 거절하면서 병자호란이 일어나게 된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 호란의 원인은 인조의 친명 정책 말고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임진왜란 후 국력상실. 이괄의 난으로 인한 북방군의 감소도 원인이 되겠고 , 오합지졸의 군사, 수성 위주의 방어전술, 최고 지휘관의 무능, 강화도 도하 실패등등 도 그 원인이 될것이지만 무엇 보다 광해군같이 명과 청나라 사이의 중립 정책을 취하지 못한 인조의 잘못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