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의 스펙트럼 분석에서 물이나 이산화탄소는 어떻게 보이나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의 성분을 분석하잖아요.
외계행성의 대기권을 반사하고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을 분석하면 어떤 성분이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만약 외계행성에 우리 지구와 같이 생명이 살 수 있는 조건인 물이나 이산화탄소가 있다면 스펙트럼에서 어떻게 보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별빛의 스펙트럼 분석은 별빛이 흡수 또는 발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별의 성분과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물과 이산화탄소는 각각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은 주로 적외선(IR) 파장대와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흡수를 하며, 특히 2.7, 6.3, 7.7, 11.3 마이크로미터 등에서 강한 흡수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서 강한 흡수를 하는 가스 중 하나로서, 2.7, 4.3, 15 마이크로미터 등에서 흡수를 하게 됩니다.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별빛을 분석할 때, 물과 이산화탄소가 흡수하는 파장대에서 강한 흡수선이 관찰된다면, 해당 별 근처에 물과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스펙트럼 분석은 천문학적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며, 별들의 성분과 대기 조성 등을 파악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