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6

24절기중 입춘의 역사적 유래는 무엇인지 궁금해요.

우리나라에는 24절기라고 있는데 입춘의 역사적인 유래는 어떻게 탄생된것인지 궁금해요. 그리고 가게를 새로 오픈하거나 어릴때 집문앞에 한자로 입춘대길이라고 붙여진걸 본거 같은데요. 이것도 24절기의 입춘과 관련이 있는건지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기의 개념은 전 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개수와 명칭, 그리고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의 화북지방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태음력이 이미 있었음에도 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했던 이유는,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었던 문제점 때문이었습니다.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하여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므로,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는 이와 같은 괴리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고,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고 느낄 수 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동아시아권에서 쓰인 역법은 태음력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24절기를 같이 부속 단위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태음태양력으로 불러야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는 아마도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입춘대길은 입춘과 관련이 있습니다.

    옛날 대궐에서는 입춘이 되면 내전 기둥과 난관에 문신이 지은 연상시 중에 좋은 것을 뽑아 연잎과 연꽃 무늬를 그린 종이에 써서 붙였는데, 이를 춘첩자라 하였습니다. 『경도잡지』에 의하면, 입춘이 되기 열흘 전에 “승정원에서는 초계문신(당하문관 중에서 문학에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뽑아서 다달이 강독·제술의 시험을 보게 하던 사람)과 시종신에게 궁전의 춘첩자를 지어 올리게 하는데, 패로써 제학을 불러 운자를 내고 채점하도록 한다.” 하였습니다. 춘련을 써서 붙이게 된 유래는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형초세시기』에 입춘날에는 의춘 두 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고 하였으니 지금의 춘련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