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힘찬직박구리6
힘찬직박구리6

대승불교의 참나론과 힌두교의 진아론의 차이가 궁굼합니다.

불교 철학과 인도 철학에 관한 질문이니 인문학과도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제가 불교랑 힌두교에 관심이 많은데 초기 불교는 나 자신이 없다는 무아론을 펼쳤다가 나중에 나온 대승불교는 우파니샤드를 참고해서 참나론을 펼쳤다고 하더군요. 힌두교는 진정한 나 자신이 있고 나 자신을 다른 것들과 동일시하지 않으면서 마음을 닦는 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초기불교에서는 아예 이런 진아가 없고 무아라고 한 거로 아는데 나중에 나온 대승불교에서는 참나론을 펼치면서 이 참나를 불성이라고도 하고 대행스님은 주인공이라고도 하셨던 거로 알고 있습니다. 이게 힌두교의 진아론과 많이 흡사해보이는데 대승불교의 참나론은 힌두교의 진아론과 다르다고 하더군요. 어떤 점이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zudaish
      zudaish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아론과 진아론입니다.

      한쪽은 2500년 전 부처의 가르침이라고 알려진 삼법인 중 제법무아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신봉하고 한쪽은 체험을 통해서 알아낸 무아를 진아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