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3.31

북한의 주체사상이라는 것은 도대체 어떤 내용인가요?

대학생 시절때, 운동권 선배들을 통해서 어렴풋이 주체사상이라는 이론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지금도 색깔론 논쟁에서 주체사상이 항상 거론되는데,

도대체 누가 만들고, 어떤 내용의 사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그냥 독자적인 사상이라고 이름만 갖다 붙였을뿐 무슨 사상도 이념도 아니라고합니다.

    김일성도 주체사상이 뭔지 잘 몰랐다고합니다.

    겉멋만 잔뜩 들어간 단어로들로 포장이 되어 있는데 사실은 김일성이나 김정일이나 김정은이가 최고다! 라는 게 결론이거든요.

    김씨 3부자의 세습독재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만들어낸 거짓말에 불과하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주체사상이란 자기의 운명을 자기가 개척해나가야 한다는 사상으로서 이원적 구조를 가지고있습니다.

    좁은의미에서는 김일성의 생애를 알아야 하고, 넓은의미에서는 북한을통치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주체사상은 북한주민을 통치하는 아주 친밀하고,정밀하게 체계화 된 이론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주체사상이란 말을 처음 사용할 때, 그 내용에 대해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철학적 원리에

    기초한 사상이라고 하였다.

    김일성은 “주체사상이란 한마디로 말하여

    혁명과 건설의 주인은 인민대중이며

    혁명과 건설을 추동하는 힘은 인민대중에게

    있다는 사상이다.”라고 말하였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체사상은 북한의 모든 정책과 활동의 기초가 되는 조선 노동당의 유일지도사상으로 주체확립이라는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됩니다.

    또,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칭하기도 하며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쪽에서 수령절대주의, 주체교라고 부르기도합니다.

    북한의 1인 독재권력을 정당화하고 김씨조선 체제를 유지하는 사상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한 김일성이 한말로 혁명과 건성의 주인은 인민 대중이고

    혁명과 건설을 추동하는 힘은 인민 대중에게 있다는 사상을 이야기를 해서

    인민주 주체가 되는 사상을 말하는 겁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체사상은 북한의 초대 지도자 김일성이 창시한 정치사상입니다. 이념은 자립과 외세로부터의 독립의 원칙에 기초합니다. 이는 북한 주민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달성하기 위해 외세에 의존하기보다 자신의 자원과 능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생각을 조장합니다. 국가 지도자를 둘러싼 개인숭배로 많은 외부인의 비판을 받아온 북한의 공식 국가 이념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북한의 김일성이 1967년 12월 최고 인민 회의에서 발표한 내외 정책의 기본 방침입니다.

    정치면에서는 자주, 경제면에서는 자립, 국방에서는 자위를 중심 내용이지만,

    김일성 지배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만든 이념이지만,

    실제로 이제 주체사상은 북한의 삶의 양식을 전반적으로 규율하는 살아있는 이념이 되었다고 봅니다.

    주체사상을 이해하여야 북한을 들여다보고 이해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주체사상은 수령님의 심오하고 다방면적인 사상리론활동의 고귀한 결실이며 주체사상을 창시하신 것은 수령님께서 이룩하신 혁명업적에서 가장 빛나는 자리를 차지합니다."

    김정일이 1982년에 지었다는 '주체사상에 대하여' 서론부분에 나오는 대목이다. 그만큼 주체사상은 북한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일성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각색하여 김일성주의를 주장하는데 정치에서는 자주 경제에서는 자립 국방에서는 자위 그리고 사상에서는 주체를 강조한 것입니다. 그래서 외세의 간섭과 도움없이 주체적으로 자주 자립 자위 그리고 주체사상을 주장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체사상은 북한의 이념으로, 북한 국가의 핵심 이념입니다. 이 이념은 김일성 주석이 발전시켰으며, 김정일, 김정은 등 후계자들에 의해 계승되어 왔습니다.


    주체사상은 '주체(主體)'라는 말에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이 자기 인생과 역사적 운명을 직접 주체적으로 통제하고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누구의 지배도 받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생활하고 나아갈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개인의 자주성(自主性)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주체사상은 또한 북한의 자주주의 및 국가주의 이념입니다. 이 이념은 국가의 자립과 독립, 국가의 안보와 발전, 그리고 국민의 행복을 중시합니다. 또한, 주체사상은 과학기술발전, 군사력 강화, 경제개발 등의 북한의 국가적 목표를 추구하는 이념입니다.


    주체사상은 북한 국민들에게 강력한 정치적 유대감과 동일성 의식을 심어주는 역할도 합니다. 이러한 이념은 북한의 국가적 정체성과 체제 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 그대로 인민들이 '주체적'으로 생각해야된다는 얘기입니다. 외세의존말고 북한 스스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주체사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체사상에서의 주체란 처음부터 정치적 성격을 말합니다.

    김일성은 주체에 대하여 “모든 것을 북한의 실정에 맞게 해나가며,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일반원리와 다른 나라의 경험을 북한의 실정에 맞게 창조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주체사상의 핵심적 내용은, 곧 북한의 사회주의 혁명과 건설에서의 주체확립을 뜻하게 된다. 주체확립에 대하여 북한은 1970년 노동당 제5차 대회에서 그 규정을 했는데, 여기서 주체확립의 중심개념은 주인다운 태도인 자주적 입장의 견지와 창조적 활동으로서, 이것은 곧 자기혁명은 자기가 해야 한다는 것, 남으로부터 원조를 받지 않고 자기갱생을 해야 한다는 실정을 반영하는 것과 다름없다. 결국 주체사상은 초기에는 북한의 실정에 알맞은 혁명과 건설의 추진을 강조하는 소박하고 통속적인 사고에 불과한 셈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주체사상은 1970년 이후 북한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동격으로 격상되면서 철학적 성격이 분식(粉飾)되었고, 오늘날에는 이 두 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발전시켰으며, 현시대의 혁명과 건설과정에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답을 주었다고 선전하고 있습니다.

    78년 4월 9일 북한의 대표적 해외친북단체인 ‘주체사상국제연구소’를 창설하여 주체사상의 국제적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체사상이 북한 주민의 사상을 무장시키고, 정치적 총합에 효과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여 왔음은 틀림없습니다.

    또 대외적으로 비동맹권 국가에게는 공산주의 세계혁명론으로 부각되고, 서방권 국가에는 민족공산주의(民族共産主義)로 오인되는 등의 효과를 낳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체사상은 폐쇄를 전제로 하는 상황에서는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할 수 있겠으나 1980년대 말 일기 시작한 동유럽 공산권의 민주화 ·개방화와 소연방의 해체, 중국의 개혁정책 앞에서는 더이상 위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