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11.12

금성의 밝기는 달과 비교하면 어느정도수준이고 어떤색으로 보이나요?

금성은 잘 보인다고 하던데요.

실제로 달과 비교하면 어느정도 수준인지 궁금하며 지구에서 볼때 어떤색으로 관측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보름달의 겉보기 밝기는 -12.5, 금성은 최대 -4.9 등급입ㄴ디ㅏ.

    그래서 보름달이 훨씬 밝아보이는 수준이고, 육안으로는 금성의 색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행성으로, 고대 천문학자들에 의해서도 이미 관측되었습니다.

    가장 밝을 때의 금성은 겉보기 등급 -4.9로,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천체 중에서 세 번째로 밝으며 A형 주계열성인 시리우스보다 25배 이상 밝습니다.

    금성의 색깔은 망원경으로 보았을 때 흰색 또는 황백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는 두꺼운 이산화탄소 대기와 황산 구름으로 덮여 있기 때문입니다. 이 행성의 구름 덮개는 직접적인 관측을 방해하기 때문에 금성 표면의 색깔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주선 미션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과학자들은 그것이 다양한 빨간색, 갈색, 그리고 회색 색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반면에 달은 지구에서 두 번째로 밝은 천체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달의 표면은 반사도가 높은 불투명한 구름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가시광을 통해서 표면을 관찰할 수는 없습니다. 달의 색깔은 주로 흰색이나 옅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달이 수평선 근처에 있을 때는 빨간색이거나 노란색을 띠기도 합니다.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대기에 떠도는 먼지 입자로 인해 푸른 달로 보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의 겉보기 밝기는 -4.92 ~ -2.98정도이며

    태양과 달을 제외한 천제중에서 가장 밝아요.

    금성은 노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성과 금성은 하늘에서 태양과 달에 이어 각각 세번째, 네번째로 밝은 천체입니다.

    보름달의 겉보기 밝기는 -12.5등급, 금성은 최대 -4.9등급, 목성은 최대 -2.9등급입니다.

    겉보기 등급에서 1개 등급의 밝기 차이는 약 2.5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