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24.02.07

미국의 상업부동산 채무불이행이 얼마나 증가할것으로 보이는건가요?

오늘 새벽 월가에서 상업용부동산 위기를 경고하고 있으며 향후 2년가 부동산 시장이 크게 위축될것으로 경고도 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현재 미국의 상업부동산이 올해 채무불이행이 작년이나 재작년보다 얼마나 증가할것으로 보이고 있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진영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진영 경제전문가
    중앙대학교
    24.02.07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상업용 부동산의 채무불이행이 어느 정도 증가할지는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시장조사업체 트렙에 따르면 2025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미국 상업용 부동산 대출은 5600억달러이며, 2027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 규모는 2조2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 또한, 글로벌 신용평가사 중 한 곳인 무디스는 만기가 도래하는 상업용 부동산 대출 3건 중 1건 꼴로 대출 연장이나 재융자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자 일부 은행들은 지난 2년간 만기가 도래한 대출을 단기 연장하는 방식으로 부실이 드러나는 시기를 인위적으로 늦춰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사무실 부문에서 상업용 부동산 발 고통은 이제 막 시작됐다며 중소형 은행들은 향후 2년 내에 재융자를 받으려는 차주들에게 상당한 규모의 대출을 하게 될 것이고, 이는 순차침체(rolling recession)로 연결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채무불이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대출을 공급한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률은 15%가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서 채무 불이행은 이에 따라서 작년에 대비하여 올해는 최소 2배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2.07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채무 불이행 (디폴트)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실리콘밸리은행 (SVB) 파산 이후 미국 금융권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상업용 부동산 부채의 만기가 2025년 말까지 다가오면서 향후 금융위기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초부터 불거진 미국 상업부동산 부실 대출 확대에 대한 우려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미 경제계는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글로벌 사태로 번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뉴욕 지역은행 뉴욕커뮤니티뱅코프(NYCB) 주가가 또 큰 폭 하락하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내에선 이번 사태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같은 시스템적 위기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하지만 상당 기간 불확실성으로 작용해 경제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채무불이행과 같은 경우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약 7천억 달러의 채무불이행이 다가오고 있다고

    발표하는 등 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상업용 부동산의 경우는 고금리와 미국의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공실증가로 부실이 증가하고 있고 금리가 인하되지 않는 한 올해는 더 많은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현재 상업용 부동산 부실 리스크가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여 연체가 된 기업이 20% 이상 늘어났습니다.

    • 이는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는데 현재 뱅크런이나 심각한 금융위기가 찾아오지 않은 이유는

      전처럼 정부가 은행의 예금은 보장해줄 것이라는 예금자들의 신뢰가 있기 때문에 버티고 있습니다.

    • 또한 미국정부에서도 현재가 가장 위험한 고점으로 인식하고 있고 리스크는 관리되는 수준이라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