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08

왜 봄이 되면 날이 따뜻해지다가, 꽃샘추위가 오는건가요?

겨울이 지나고 입춘이 되면, 날씨가 따뜻해지잖아요.

그런데 왜 갑자기 꽃샘 추위라고 해서 날씨가 추워지는건가요?

갑자기 날씨가 변화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8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봄철에 꽃샘추위가 오는 이유는 세력이 약해져서 물러나 있던 차가운 시베리아 기단이 봄비가 내리면서 저기압이 통과하는 동안 세력을 다시 확장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우리나라는 시베리아 기단이 물러나고 중국 대륙에서 발생한 따뜻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봄이 됩니다. 봄철 이동성 고기압으로 봄날이 이어지다가 저기압이 다가오면서 봄비가 내리게 되는데, 이 저기압으로 인하여 가끔씩 시베리아 기단이 세력을 다시 확장하여 내려 오면 기온이 갑자기 추워지는 꼿샘 추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꽃샘추위의 원인은 우선 갑작스런 시베리아 고기압의 확장에 있습니다.
    꽃샘추위는 대개 2월 말~ 3월 중순까지 나타나는데 대개 시베리아
    차가운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시기(갑자기 추워지는 시기)는
    12월 초순, 하순, 1월은 대부분 영향을 받습니다.
    2월은 때에 따라 초순과 중순에 갑작스레 추워지는 것이 있는데
    이를 여한(餘寒)이라고 합니다. 여한은 입춘(2월 4일)이후 나타나는
    강추위, 혹한을 말합니다. 그리고 2월 하순은 대체적으로 남서쪽의
    따뜻한 고기압이 접근하기 시작하는데 그래서 남부지방에는 개화가
    시작됩니다. 이는 봄이 되면 시베리아 고기압의 후퇴, 그리고
    시베리아 기단이 갈라져서 나오는 이동성 고기압과 중국 대륙에서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이 나흘 간격으로 통과합니다.
    고기압이 통과를 하면 날씨가 맑고, 기온이 높아지며 저기압이
    통과하게 되면 봄비가 내려서 새싹을 틔우는데에 원동력을 줍니다.
    다만 이때 약화되었던 시베리아 기단은 다시한번 세력을 회복해
    권토중래하여 우리나라를 강타하게 되며 이때에 피었던 식물들이
    차가운 추위로 동사하기도 합니다.
    이는 일종의 기상 이상일로 분류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