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15

고려시대 '도방'이 했었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고려시대 무신집권기에 도방이라는 최고의 정치기구가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이 기구가 고려시대에 했었던 구체적인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방은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입니다.

    경대승(慶大升)에 의해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경대승이 1179년(명종 9) 정중부(鄭仲夫) 일파를 살해하자,

    일부 무신들은 적의를 품게 되었습니다.

    이에 경대승은 신변에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결사대 100여 명을 자기 집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름을 도방이라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방은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으로 1179년(명종 9) 경대승에 의해 설치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정중부 일파를 살해하자, 일부 무신들은 적의를 품게 되었기 때문에 이에 경대승은 신변에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결사대 100여 명을 자기 집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름을 도방이라 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방은 처음에는 경대승의 신변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다 점차

    경대승의 호위에 그치지 않고 반대

    세력의 움직임을 탐지하여 형벌을

    내리거나 숙청하는 역할 등을

    담당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방은 권력을 가진 대부분의 무신들이 참여해서 각종 국가중대사 정책들에 대한 의결을 했던 기구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무신정권기의 사병집단·숙위기관(宿衛機關).


    사병을 조직화하여 하나의 기구로 만든 것인데, 원래는 사병들의 숙소를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후에는 숙위대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다. 도방은 1179년(명종 9) 정중부 일파를 제거하고 집권한 경대승(慶大升)에 의해 처음 조직되었다. 정권 탈취과정에서 당시 대부분의 무신들을 적으로 삼아야 했던 경대승은 보다 안전한 신변 보호책이 필요했기 때문에 결사대 백수십 명을 불러모아 문하에 두고는 도방(都房)이라 칭했던 것이다. 도방원(都房員)은 긴 베개와 큰 이불을 사용, 공동생활을 하면서 숙직을 했으며, 경대승도 이들과 한 이불을 덮고 자는 등의 성의를 보이며 여러 가지 경제적 혜택을 베풀었다. 그러나 도방은 점차 경대승의 신변을 호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보의 수집과 반대파의 숙청, 심지어는 주가(主家)의 권세를 배경으로 약탈과 살인 등의 폐단도 적잖아서 명종 13년 경대승이 병사하자 철저한 탄압을 받고 해체되었다.


    그 후 1200년(신종 3) 최충헌에 의해 재건되었는데, 신변보호를 위해 문무관·한량·군졸을 막론하고 힘센 자가 있으면 이를 불러들여 6번(番)으로 나누어 날마다 교대로 자기 집을 숙직케 했으며, 그가 출입할 때는 6번이 합하여 호위하게 해 그 위세가 마치 전쟁터에 나가는 것 같았다고 한다. 최충헌의 시종·문객이 거의 3천 명에 달했다는 것으로 보아 그 규모의 방대함을 알 수 있다. 최충헌의 도방은 그 아들인 최이에 이르러 내외도방(內外都房)으로 확대·개편되었으며 최항 때 다시 36번으로 확장되었다. 그 후 최씨정권이 무너지고 김준이 집권하자 종래의 6번제로 되돌아가는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1270년(원종 11) 임유무가 피살되어 무신정권이 무너지자 폐지되었다.

    출처 : 한국고중세사사전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방(都房)은 고려 중기의 무신정권 집권자였던 경대승이 최초 조직한 사병 조직인데 경대승의 사후 해체되었다가 최충헌이 집권하자 다시 부활시켰다고 합니다. 일종의 사병집단제로서 원래 사병들의 숙소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뒤에는 숙위대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고 도방의 구성원들은 침식주1과 행동을 공동으로 하면서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였는데 이렇게 처음에는 단순히 경대승의 신변보호를 목적으로 등장했으나, 뒤에는 비밀탐지, 반대세력의 숙청을 비롯해 주가(主家)의 권세를 배경으로 약탈 · 살상 등을 자행하여 그 폐단이 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도방은 무신정권의 호위 및 집권체제 강화와 안전을 위해 존속했고, 무인정권의 출발에서 형성되어 무신정권의 집권체제를 강화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주가의 권세를 배경으로 백성을 약탈하는 등, 많은 폐단을 끼쳤다는 부정적 평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