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학은 조선에 언제 들어오게 된 것인가요?
지금은 거의 양학 기반의 병원을 많이 다니지만, 조선시대나 그 이전만 해도 지금의 한의학이라 불리는 의학이 주류였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 양학은 언제 들어오게 된 것인가요?
- 허준이 있는 시절은 조선 선조임금떄입니다..
한의학 에 있는 동의보감을 창시한 거지요..
서양의학은 들어온지 100년정도 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고종황제 시절떄 제중원이라는 서양의사가 개원한 서양의학 병원이 최초입니다..
1876년 조선과 일본이 맺은 강화도 조약은
서양 의학이 본격적으로 전래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일본은 자국 거류민을 위해 서울·부산 등 각 개항지에
서양 의학에 따라 진료하는 병원을 개설하였습니다.
1877년 문을 연 부산 제생 의원은
일본이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설립한 의료기관입니다.
1882년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와 수호조약을 체결하였으며,
기독교 선교사역의 일환으로 서양 의학이 들어오게 됩니다.
1884년 의료선교사 알렌이 갑신정변 때 큰 부상을 입은
민영익을 치료해준 사건을 계기로 이듬해 광혜원이라는 왕립병원을 세웠습니다.
광혜원이 제중원으로, 연세대 의과대학의 전신인 제중원 의학교로,
세브란스 의원으로 바뀝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의학은 지석영이 종두법을 만들어 천연두가 종식될 쯤 조선시대 의학이 최고로 발전하는 시기였지만 조금 더 지나서 서양에 의학이 조선시대에 소개되었습니다.
1632년경부터 명나라를 왕래하던 사절들을 통해 서양의학의 감화를 받은 한역의서들을 접촉하게 되면서 실증적 학풍에 의한 의인들 자신의 관찰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간략한 경험 방서들을 많이 보게 된 후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부터 왕래하기 시작하던 야소회사들의 교리서의 한역서 중에 섞여 있는 서의학 지식과 우두종법을 비롯한 서양 의방서들의 한역서가 우리나라에 차차 전해오게 되어 서의학에 대한 흥미와 자극을 갖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 지식들의 술법은 일부분에 국한되었고 서의학의 지식이 일반적으로 보급된것은 1876년 이후 일본 및 미국, 유럽 각국들과 수호통상조약이 성립되면서 부터이고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의료행정 및 의학교육을 서의학 중심으로 실시하게 되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 의학은 19세기 후반에 조선에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1885년 조선 정부는 한국 최초의 서양 의술을 도입한 병원인 왕립 병원을 설립했습니다. 병원에는 서양 의사와 간호사가 근무했으며, 서양에서 수입한 현대 의료 장비를 갖추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