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 흥성대원군은 왜 쇄국정책을 한건가요?
사실 우리나라 가 조선말기 쇄국정책을 흥선대원군이 하지 않았고 서양문물을 받아들였덜하면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강대국이 되지 않앗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은 조선의 전통적 질서와 왕권을 회복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세도정치로 인해 무너진 왕실의 권위를 바로잡고, 붕괴된 재정과 사회질서를 재건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외국 세력, 특히 서양 열강과의 접촉은 조선 내부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서양 세력은 기독교 선교사와 함께 들어와 조선 사회의 종교, 문화, 정치 질서를 위협한다고 여겨졌습니다.
특히 천주교가 조선의 유교적 질서와 충돌하면서 사회 불안 요인으로 작용했고, 대원군은 1866년 병인박해를 통해 대규모 천주교 탄압을 단행했습니다.
이 사건은 프랑스의 무력 보복인 병인양요로 이어졌고, 이어 1871년에는 미국의 무력 시도인 신미양요도 벌어졌습니다.
이러한 외세의 침입에도 불구하고 대원군은 강경한 태도를 고수했습니다. 그는 강화도 외세 침입에 맞서 싸웠으며, 외국과의 조약 체결이나 문호 개방은 조선의 자주성을 해치는 행위라고 보았습니다. 결국 대원군의 쇄국정책은 “통상수교 거부”라는 강력한 구호 아래 조선을 고립시키는 정책으로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