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5.25

현중일은 언제 공포 만들어졌나요?

해마다 6월6일을 국가를 위해서 희생하신분들을 추념하기 위한 날로 공포. 지정하여 기념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현충일은 언제 만들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한국전쟁을 맞았고 이에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으며 백만 명에 달하는 일반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입었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자리가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다. 1982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법정기념일이 되었다.

    행사는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행하는바 서울에서는 국립묘지에서 시행되고 있다. 추모대상범위는 한국전쟁에 전사한 국군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현충일 [顯忠日]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충일이 처음으로 지정된 해는 1956년인데 이날이 '망종'이 마침 양력 6월 6일이었고 정부는 1956년의 ‘망종’이 마침 양력 6월 6일이기에 6.25전쟁으로 가장 많은 장병들이 희생되었기 때문에, 정부는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3년 휴전이 성립 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자리가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으로 제 1145호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 을 개정해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졌고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 개칭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충일은 충렬을 드러내는 날이라는 뜻으로 매년 6월 6일 민족과 국가의 수호 및 발전에 기여하고 애국애족한 분들의 애국심과 국토 방위에 목숨을 바친 모든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기 위한 국가추념일 이자 법정 공휴일 입니다.

    1956년 4월 25일에 공포된 현충기념일에 관한 건(국방부령)으로 현충기념일 이라고 불리다가 1982년 부터 개정 각종 기념일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으로 말미암아 해당 규정성의 기념일로 편입 되었습니다.

    현충일이 6월 6일로 지정된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습니다

    1982년 5월 법정기념일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