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17

우리나라 이동통신과 자동차시장 관련 질문 드립니다.

독점, 과점시장에 대해서 타국가 사례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통통신 시장, 자동차 시장의 경우 과점시장으로 보는 게 맞나요,

독점시장으로 보는 게 맞나요?

전문가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이동통신시장은 '과점시장'으로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한 기업이 독점적으로 차지하고 있지는 않으나 해당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점과 3개의 기업들이 비슷한 가격과 품질을 제공하고 있어서 암묵적인 가격 담합이 이루어진 상태의 과점시장이라고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자동차 시장의 경우는 경쟁시장으로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현대차나 기아차가 국내 자동차 시장의 점유율을 높게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나 해외차들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고 현대차나 기아차는 이 경쟁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보다 나은 옵션을 만들고 해외자동차의 수요자들 (고급 브랜드의 차량)을 데려오기 위해서 '제네시스'라는 브랜드를 도입하는 등 과점보다는 경쟁체제의 상태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전제품, 자동차, 휴대폰, 이동통신 서비스 등 몇몇 대기업들이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품목들이 대표적 과점시장 입니다. 이중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는 3개 회사만이 공급을 하고 있어서 대표적인 과점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래 굵은 글씨로 피드백 드립니다.

    독점, 과점시장에 대해서 타국가 사례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통통신 시장, 자동차 시장의 경우 과점시장으로 보는 게 맞나요,

    > 이동통신 시장과 자동차 시장은 경쟁적 과점시장으로 보시면 됩니다. 산업 내 플레이어들이 제한적이고 신규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반면 3~4개 업체가 매우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독점시장으로 보는 게 맞나요?

    > 국내 이동통신과 자동차 시장은 사업자가 둘 이상 시장이라 독점 시장은 아닙니다. 국내 대표적인 독점 시장은 담배, 전력생산과 공급, 도로인프라, 상하수도 인프라 등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