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이나 기술만 배우면 일자리 얻을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질문이 있어서 글을 남겨요
기술만 배우면 일자리 얻을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특성화고나 전문대 마이스터고 취업성공패키지
내일배움카드 통해서 기술배워도
일자리 얻을수 있는경우와 일자리
못얻는경우가 따로 있어요
기술관련 전공 기술과학 관련
전공 같은경우에도 취업잘되는
분야와 취업안되는 분야가 따로있다고
하더라고요
자연과학 이과전공도 예외는 아니라고
하더라고요
그럼에도 기술만 배우면 일자리 얻을수 있다고
대부분 생각하던데 왜그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기술이나 자격증 등이 있다면 일반 사람에 비해서는 제조업 등에는 취업이 유리한 것은 사실 입니다. 사실 똑같은 신입이라도 자격증 유무가 결국 판단의 기로가 되는 것이죠.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생계 수단이 되기 때문입니다.
모든 기술은 숙련이 되면 평생 돈을 벌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며,
취업이나 창업등을 하여 경제적 자립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학력이나 전공 보다는 경함과 숙련도가 중요한 이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일자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기술이고 수요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실무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장 경험이 필수적입니다.
기술만 배웠다고 해서 취업이 자동적으로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질무자님 말씀처럼 실제로는 그렇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많은 분이 그렇게 생각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적인 실용성 : 기술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수있는 실질적인 능력으로 인식됩니다. 특정 기술을 익히면 해당 분야의 직무를 곧바로 수행할수있다는 기대가 크기 때문입니다.
성공 사례의 영향 : 미디어 등을 통해 기술 습득후 성공적으로 취업하거나 고소득을 얻은 사례들이 부각되면서, 기술이 곧 안정적인 일자리와 연결된다는 인식이 형성되는 경향이있습니다. 특히 IT등 특정 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인식이 강합니다.
교육 및 정책적 강조 : 특성화고, 직업훈련기관, 정부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등에서 기술 습득을 통한 취업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홍보하는 영향도 큽니다.
과거의 경험 :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기술 숙련자가 부족하여 기술만 있으면 쉽게 취업이 가능했던 경험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경향이있습니다.
단순화된 해결책 : 복잡한 취업 시장에서 기술 습득은 상대적으로 명확하고 달성 가능한 목표로 여겨지기 때문에 많은 분이 이를 통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수있다고 믿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술=일자리 라는 인식이 널리 퍼지게 되는것 같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