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는 어떤 원리로 인해서 발생하며 방지를 위해서는 무엇을 신경써야 하나요?
주로 여름철에 폭우가 있을 때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간혹 접하게 되는데 산사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에 신경써야 하나요?
산사태가 있기 전에 나타나는 전조 증상으로는 어떤 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산사태는 주로 집중 호우로 흙이 물을 과도하게 머금어 약해지고 무거워져 산 비탈면이 무너져 내리는 현상입니다. 불안정한 지반 구조, 가파른 경사, 산림 훼손으로 인한 식생 부족, 부적절한 인위적 개발 등도 원인이 됩니다.
산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산림을 잘 관리하고 훼손된 곳에 나무를 심으며, 빗물이 잘 빠지도록 배수 시설을 정비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사방댐이나 옹벽을 설치하여 지반을 보강하고, 산사태 취약 지역 관리와 주민 대피 계획 수립도 중요합니다.
산사태 발생 전에는 땅이 갈라지거나 부풀어 오름, 계곡물의 양이나 탁도 변화, 건물이나 옹벽의 균열, 산에서 나는 이상한 소리, 나무 기울어짐 등의 전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징후를 인지하고 신속히 대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산사태는 주로 토양의 수분 포화 상태와 지반의 약화가 결합되어 발생합니다.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나무의 수직 및 수평 뿌리가 토양을 고정시키게 하여 산사태 위험을 감소 시킬 수 있으며
계곡부에 콘크리트 및 목재 댐을 건설하여 토석류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산사타 전조 증상으로는 경사면에서 갑자기 물이 솟거나, 땅이 부풀어 오르거나 빈 공간이 형성됩니다.
또한 바람이 없는 경우에 나무가 흔들리거나 땅이 울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산사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물로 인해 마찰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많은 강우로 인해 물이 땅 밑으로 깊게 들어가게 되면 여러갈래로 물이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그로 인해 물이 들어간 곳을 경계로 마찰력이 약해져 물 윗부분의 무게가 무겁다면 아래로 무너져 내리면서 산사태가 발생합니다. 또한 상부는 물로 인해 하중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무너져내림이 가속화 되어 산사태가 발생합니다.
산사태의 전조증상은 알아채기가 어렵고 순식간에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토사가 노출되어 있거나 암석이 고정되지 않고 역시나 노출되어 있는 지역은 산사태는 막기위해 망태 같은 것들로 덮어 높기 때문에 산사태가 일어날만한 지역은 우천시 방문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