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적 관점에서, 동기궤도는 무엇이며, 조석고정과의 차이점은 어떻게 되나요?
천문학 적인 관점에서
조석고정이라는 것은
어떤 한 천체의 자전 주기와 공전주기가 동일함으로 인해
관찰자가 그 천체를 바라볼 때
한 면만을 관찰자가 있는 천체로 보여주는 현상을 나타나게 되는 현상인데요
가장 좋은 예가
달이 지구에게 한 면만 보여주는 현상이 조석 고정의 실 예 입니다.
따라서 뒷면은 절대로 볼 수 없는 구조인데요.
그렇다면
그외 비슷한 개념으로
동기 궤도 라는 개념이 나오는 것을 접하게 되는데요.
근데 이게
정확하게 어떤 현상을 말하는 것이며
조석고정 과는 정확히 어떻게 차이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조석고정이란 천체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일치하는 현상이며 공전하는 동안 항상 같은 면을 상대 천체에게 보여주는 현상이지요. 조석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로 천체의 자전은 점점 느려지게 되고 공전과 맞춰지게 되는것입니다. 동기궤도란 위성이 공전주기와 행성의 자전주기가 동일한 궤도를 의미하며 위성은 행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계속 바꾸며 행성의 다양한 면을 보게 되므로 동기궤도에 있는 위성은 조석 고정상태가 안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