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연금보험 정말 필요 없을까요?
노후 설계를 위해 연금보험을 알아보던 중 설계사분들이 예전이면 모를까 지금은 연금보험을 안드는 것이 좋다고 굳이 찾아서 들을 필요가 없다는 답변만 해주셔서 일단 찾는것을 중지했습니다. 아마도 내는 금액 대비 보장이 낮아서 그런거 같은데 정말 연금보험이 필요 없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금리가 낮으니까 연금상품의 이자가 낮아서 그렇게 말한듯합니다.
하지만,
노후생활비로 쓸 연금보험은 리스크를 최소화해서
미래에 꼭 쓸수 있는 안정적인 상품이어야 하죠!
위험성이 큰 상품으로 큰 수익을 낼수도 있겠지만,
반대의 경우 수십년 고생한걸 허공에 날릴수도 있죠!
연금이라는 자체가 노후 자금이라
"긴 시간"의 여유가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자가 낮아도 추후 꽤 쓸만한 상품이 되는거죠!
생각해 보세요!
이자없이 수익없이 2~3년걸려
원금만 오백만원 모아도 굉장히 즐겁잖아요^^
더길게 더큰돈을 원금만 모아도 행복할거라 저는 생각하구요!
다행히 연금상품은
내가 낸돈대비 2배를 수령할 수도 있으니 나쁘지 않습니다^^
제대로 가입하고 잘 활용하면 수익도 더 늘릴수 있으니
최대한 꼼꼼히 준비해하면 됩니다.
저는
■ 연금은 무조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여유자금이 있다면 무조건 연금 준비를 하시구요!
사실 연금은 저축이기 때문에 많이 하면 할수록 무조건 좋죠.
많이 해서 나쁠게 없답니다!
연금상품중에는 중간에 찾지 못하는 국민연금도 있지만,
보험사에 따로 가입하는 연금은 장기 납입을 하다가 필요시 중간에 찾을 수도 있죠!
굳이 연금으로 안쓰더라도 목돈만 되면, 어디든 쓸곳은 많을 것입니다!
연금은 4가지 추천드릴수 있습니다!
(1순위) 국민연금
(2순위) 세액공제 연금!
(3순위) 비과세 연금! (이자부리연금 / 투자성연금)
(4순위) 종신보험(연금전환)
효율적인 측면에서 순위를 매겨 드렸구요!
소득이 있으시다면, 국민연금은 하고 계실껍니다.
국민연금은 노후 생활에 상당한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국민연금외의 연금은 하나로 크게 하시는것 보다는
위 순위를 참고하셔서 통장쪼개기 하듯 쪼개서 가입하시면 좋습니다!
세액공제연금은 수익측면에서 엄청난 이득을 보실수 있는 상품이구요!
세액공제가 안되는 연금은 '비과세 혜택'이 있지만,
현시대가 워낙 저금리라서 과세할 이자도 별로 없죠.
(중요)
국민연금 외에 따로 준비하는 연금은,
세액공제연금과 비과세연금을 적절히 분배해서 활용할것!
또한 따로 연금을 가입할때는 납입방법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같은 금액이라도 [기본납입] 과 [추가납입]을 설정함에 따라
떼어가는 사업비를 크게 아낄 수 있답니다!
■ 연금계약 쪼개기와 납입금액쪼개기
(기본납+추가납)로 얻을수 있는 장점 5가지!
장점1) 사업비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내가 받는 금액이 늘어납니다!
(추가납입은 사업비가 거의 없죠)
장점2)기본납입인 50만원(25만원2건)은 고정적으로 내야 하지만!
추가납입 100만원은 언제든 안내도 되고, 다시 내도 되고 ^^
마음껏 조정할수 있으니, 내 수입이 줄어들어도 부담이 없죠!
장점3) 정말 힘든 상황이 오면, 2구좌로 쪼갰으니 하나만 해지하고
하나는 유지 할수 있죠! 이또한 관리의 유연함이 생기는 겁니다!
장점4) 하나는 이자부리 방식(안정적) 하나는 변액상품(투자상품) 으로 하셔서
안정감과 수익성 두마리토끼 모두 잡을 수 있답니다!
장점5) 차후 연금받을때 복층 설계가 가능합니다.
- 하나는 짧고 굵게 받고 (10년에서 20년간 받는거로 신청)
- 다른하나는 평생받는거로 신청!
이렇게 하면 조금이라도 젊었을때 더 많이 쓸수 있고, 죽을때(?)까지 안정적으로 받을 수도 있죠!
어떤가요?
단순히 [연금]만 생각했는데 좀 복잡하시죠?
조금이라도 더큰 수익과 효율을 가지고 가시려면,
반드시 전문설계사와 상담을 하시고 준비해야 한다는것!!! 기억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성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험사 연금저축보험은 일반연금처럼 일정기간 납입 후 약관에 명시되어 있는 시기에 매달 일정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후대비는 물론 매년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기에 많은 분들이 꾸준하게 가입하고 계십니다.
국민연금은 국민연금보험공단에서 관리 및 가입이 이루어 지고 일반 사기업 보험사에서도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할 수 있는데
똑같이 연금지급 및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에 국민연금을 가입하고 추가로 가입을 하시는 것입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형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어떤 상품이든 장단점은 당연히 있습니다.
연금같은경우는 일반적인 적금보다는 기간이 길지만 소액으로 조금씩 목돈을 만들어가시며 노후를 대비하는 용도로 많이들 준비를하시는데,
당연히 보험사마다 상품마다 조금씩은 차이가 있겠지만 조금이나마 높은 환급률의 상품을 가입 후 추가납입기능을 이용해 조금 더 빠르게 원금을 도달시키고 거치 후 이자를 받아보는방법이 최선인데요 .
노후의 연금의 필요성을 조금이라도 생각하셨다면 소액으로라도 준비를 하시는걸 추천드리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거나 비과세혜택도 받으실수있기에 연말정산을 하고계시다면 한도금액 정도까지는 금액설정해주시는것 또한 좋겠지요
가입시에는 보험사마다의 환급률을 비교해보시고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축성보험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목돈마련이나 노후생활자금을 대비해주는
보험상품으로 납입한 보험료보다
만기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상품 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통 금리가 적금 이자보다 1%이상 ?높고,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가 적용됩니다.
게다가 10년동안 유지하면
15.4%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