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팔팔한청설모167
팔팔한청설모16723.07.21

자동차가 달릴때 타이어휠이 꺼꾸로 돌게보이는게왜일까요?

빠르게 돌고있는 타이어휠이 반대로돌고있는듯한

착시현상은 왜일까요?

무슨 과학이 숨어있는 것인가요?

상세하게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눈이 움직이는 속도에 대해서 모두 눈에서 인식하여서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쉽게 말하면 눈으로 보고 인식하고 인식하고 인식하고 하는데요. 이 인식하는 기간 대비해서 속도가 빠르면 눈에서는 착시현상과 같이 휠이 멈춰 있어 보이거나 반대로 돌아가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가 달리면서 타이어가 빠르게 회전하면 우리 눈에는 타이어가 꺾이거나 꺾이지 않은 상태로 보이지 않고, 꺾여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오토 스토브 효과라고도 불리며, 이는 우리 눈의 시선과 회전하는 타이어의 속도 차이에 기인합니다.

    자동차가 빠르게 달리면 회전하는 타이어의 속도는 매우 빠르게 되며, 이는 우리 눈의 시선과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차가 오른쪽으로 휘어질 때, 우리 눈은 그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타이어는 여전히 직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우리 눈에는 타이어가 꺾여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오토 스토브 현상이라고 합니다.

    워낙 빠른 속도로 바퀴가 회전하고 있음에 따라 육안으로 볼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 같은 착시 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타이어 휠이 거꾸로 돌아가는것 처럼 보이는건 스트로보 효과의 일종으로 착시현상입니다 우리의 눈이 빠르게 움직이는 바뀌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타이어휠이 빠르게 돌고 있을 때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보이는 착시 현상은 스토벌 효과(Stroboscopic Effect)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촉수불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스토벌 효과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관찰할 때 발생합니다. 특히 주변 조명이나 주변 환경과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인식되는 현상으로, 눈의 시야와 물체의 움직임 주기가 어긋나면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타이어휠이 매우 빠르게 회전하고 있을 때, 인간의 눈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물체를 관찰하고 인식합니다. 이렇게 짧은 시간 동안 물체를 반복적으로 보게 되면서, 타이어휠의 회전 주기와 눈의 관찰 주기가 어긋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눈에는 타이어휠의 회전이 부분적으로만 인식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착시 현상은 주로 영상이나 조명, 노래방 등에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빠르게 반복되는 영상을 눈으로 볼 때도 마찬가지로 물체의 움직임과 눈의 인식 주기가 어긋나게 되어 이상한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스토벌 효과는 우리 뇌의 인지 능력과 눈의 동작 원리와 관련된 현상으로, 흥미로운 과학적인 현상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이 정확히 일어나는 원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연구와 실험을 통해 더 많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착시현상입니다. 바퀴가 너무 빠르게돌고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프레임의 주기와 맞춰 바퀴가돌면 바퀴가 멈춘듯이, 인지영역주기보다 약간 느리게돈다면 바퀴가 뒤로가는것처럼 보입니다. 선풍기 날개도 동일한 현상입니다.


  • 자동차가 달릴 때 타이어 휠이 꺼꾸로 도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은 국소적으로는 착시현상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스트로베 스코픽 효과(Stroboscopic effect)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로베 스코픽 효과는 빛이나 운동하는 물체의 시각적인 인식에 영향을 주는 현상으로, 빠르게 움직이거나 규칙적인 주기로 반복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물체를 관찰할 때 발생합니다. 자동차의 바퀴는 실제로 빠르게 회전하지만, 우리 눈은 초당 특정 프레임으로 정보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빠르게 회전하는 바퀴를 연속적으로 관찰하는 경우, 우리 뇌는 프레임들을 조합하여 일정한 주기로 움직이는 것으로 인식합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바퀴가 회전할 때 타이어 휠의 위치가 끊임없이 변하는 것 처럼 보이고, 특히 영상이나 LED 디스플레이 등에서 더 두드러집니다. 이러한 착시현상은 주로 높은 속도로 회전하는 물체의 경우에 더 자주 발생합니다.